“친박은 없다” 친박 부인하는 친박의원들

“친박은 없다” 친박 부인하는 친박의원들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8-07-05 23:10
업데이트 2018-07-08 14: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정부 행자부장관 지낸 정종섭 “난 친박·비박 적용 안 되는 사람”

野 수장 공백 속 계파 갈등 여전

자유한국당 내 친박근혜계 세력으로 분류됐던 의원들이 최근 들어 ‘나는 원래 친박이 아니었다’거나 ‘이제 친박은 없다’라며 ‘친박 부인(否認)’ 퍼레이드를 벌이고 있다.

2016년 총선에서 ‘진박 마케팅’을 벌였던 정종섭 의원은 지난달 22일 한 토론회에서 “나는 친박·비박 다 적용이 안 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어 “10년 이상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이름을 팔아 정치한 사람들은 스스로 판단해 자리를 비워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에서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낸 그는 선거운동에서 “박 대통령과 시대를 보는 철학이 일치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박근혜 정부 때 친박 핵심 실세였던 홍문종 의원은 지난달 28일 의원총회에서 “친박이 어디 있나. 다 죽었다”며 “손가락질 받기 싫고 친박 소리 듣기 싫어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말로는 이처럼 계파를 부정한다면서도 행동에는 여전히 계파색이 묻어난다. 정종섭 의원은 초선 의원 6명과 함께 지난 4일 “구시대의 매듭을 짓기 위해 책임져야 할 분들의 아름다운 결단을 촉구한다”고 사실상 비박계 리더인 김무성 의원을 겨냥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국당의 리더십 공백 속에서 이러한 현상은 계속될 수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친박과 관련한 부정적 평가가 많으니 공개적으로 이야기했을 때 불이익이 더 크다고 보는 것”이라며 “누군가에 의해서 선택된 정치인들이 또 다른 구심점이 없는 지금 상황에서 혼란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문제는 결정적으로 이해관계가 있다면 계파 모임에 참여해 이중적 태도를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8-07-0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