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첫발 내디딘 여의도서 임정 기념식

광복군 첫발 내디딘 여의도서 임정 기념식

이주원 기자
입력 2019-04-09 20:40
업데이트 2019-04-10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19년 수립 맞춰 19시 19분 행사 시작

독수리 작전·태극기 퍼포먼스 등 재현
보훈처 “국민참여형 축제로 선보일 것”


광복군이 1945년 수송기를 타고 한국에 도착해 첫발을 내디뎠던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이 개최된다.

국가보훈처는 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을 오는 11일 여의도공원 문화의 마당 광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 사상 처음으로 광복군이 중국에서 C47 수송기를 타고 국내로 들어왔던 역사적 장소인 여의도공원 문화의 마당에서 개최한다. 또 임시정부가 수립된 해인 1919년을 의미하는 ‘19시 19분’에 행사를 시작해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의미를 더할 계획이다. 기념식은 정부 주요 인사와 각계 대표, 독립유공자 및 유족, 시민 등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독립의 횃불’ 점화, 임시헌장 선포문 낭독, 기념사, 기념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특히 보훈처는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C47 수송기로 임시정부 요인들이 한국으로 돌아오는 장면과 광복군의 국내 진입작전이었던 ‘독수리 작전’ 등 역사적 장면을 퍼포먼스로 재현해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또 3·1운동 당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온 시민을 재현한 태극기 퍼포먼스를 통해 임시정부가 국민의 열망으로 탄생했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달 1일 제100주년 3·1절 기념식에서부터 42일간 전국 곳곳의 주요 3·1운동 지역에 횃불을 밝혔던 ‘독립의 횃불’ 행사도 이날 완주식을 통해 여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번 기념식은 정부가 지난해 추가로 발견된 역사적 근거를 토대로 1919년 4월 11일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판단해 매년 4월 13일 개최하던 기념식을 올해부터 매년 4월 11일로 변경한 뒤 처음 개최하는 행사다.

보훈처는 “이번 기념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국민이 지킨 역사, 국민이 이끌 나라’라는 표어 아래 임시정부의 의의와 역사성을 알릴 수 있는 다채로운 기념공연으로 꾸며질 예정”이라며 “특히 이번 기념식은 전 국민과 함께하는 ‘국민 참여형 축제’ 형태로 개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04-10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