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2주년 대담-3] 文대통령 “4차 남북회담, 아직 北에 재촉하지 않고 있다”

[취임2주년 대담-3] 文대통령 “4차 남북회담, 아직 北에 재촉하지 않고 있다”

입력 2019-05-09 21:40
업데이트 2019-05-09 2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대통령에게 묻는다’ 출연한 문 대통령
‘대통령에게 묻는다’ 출연한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을 하루 앞둔 9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KBS 특집 대담 프로그램 ‘대통령에게 묻는다’에 출연하고 있다. 2019.5.9
청와대 제공
-- 북미 간 하노이회담을 보면 북한은 ‘영변이면 충분하지 않느냐’, 미국은 ‘전체가 해결돼야 한다’는 간극을 좁히지 못한 것 같다. 이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느냐.

▲ 북미 양국이 비핵화 대화의 최종목표에 대해서는 완전히 일치를 보고 있다.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원하는 것이고, 또 북한은 자신들의 완전한 안전 보장을 원하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서로 간에, 또 한국까지도 그 최종목표에 대해서는 합의돼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어느 순간에 짠하고 한꺼번에 교환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이르는 과정과 프로세스, 로드맵이 필요한데 이 점에서 의견이 맞지 않는 것이다.

-- 4차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는 것인데 지지부진한 상태다. 언제쯤으로 예측할 수 있을까.

▲ 지지부진하다고 말씀하기는 좀 그렇다. 우리는 북한에 아직은 재촉하지 않고 있다. 북한은 외교가 아주 발달된 나라가 아니다. 정상회담 이후에 자기 나름대로 입장 정리하는 시간이 있었을 테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있었다. 저희는 사전에 일정을 다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북한이 이런 회담을 위한 대화를 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 판단했고, 이제 북한이 그렇게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이 됐기 때문에 지금부터 북한에 적극적으로 회담을 제안하고 또 대화로 이끌어 낼 계획이다.

-- 4·17 회담 때 도보다리서 김정은 위원장과 30분간 얘기하셨다. 어떤 얘기 했는가.

▲ 저도 사실은 그때가 참 좋았다. 사실은 그다음 일정에 이르는 하나의 그냥 휴식시간에 좋은 그림으로 보여주기 위한 일정이었는데 실제로 두 사람이 이렇게 정말 진솔하게 대화를 나눌 수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 같은 민족, 같은 언어를 사용해서 통역 없어도 된다는 게 정말 좋았다. 그때 김정은 위원장은 자신들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서 그냥 아주 진솔하게 표명했다. 안전 보장에 대한 것인데 ‘핵 없이도 안전할 수 있다면 우리가 왜 제재를 무릅쓰고 힘들게 핵 들고 하고 있겠느냐’는 의지를 표명했고. 미국과 회담을 해본 경험이 없고 참모들 가운데도 경험이 별로 없는데 회담한다면 어떻게 하는 게 좋겠냐 등 여러 가지 조언을 구했다. 그래서 주로 김정은 위원장이 나에게 물어보고 제가 그에 대해서 답해주고 하는 시간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