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 현역 중 절반 이상 날아갔다…물갈이율 58%

20대 국회 현역 중 절반 이상 날아갔다…물갈이율 58%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4-16 17:22
업데이트 2020-04-16 1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불 밝힌 국회의사당
불 밝힌 국회의사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가 16일 오전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방송사 조명이 환하게 비추고 있다. 2020.4.16 연합뉴스
20대 국회 현역 의원 중 절반 이상이 21대 총선이 끝난 뒤 여의도로 돌아오지 못했다.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각 당에 따르면 현재 국회의원 290명(16일 현재 기준) 가운데 4·15 총선에서 당선된 의원의 숫자는 121명(41.7%)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169명(58.2%)은 당선인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20대 국회의 물갈이율 49.3%보다 8.9%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의원 120명 중 39명(32.5%)이 불출마를 선언했거나 공천에서 탈락, 또는 낙선했다.

미래통합당의 경우 현역 의원 92명 중 34명(37.0%)만이 살아 돌아왔다. 현역 교체(58명) 비율은 63.0%에 달했다.

통합당은 공천 과정에서 김무성·원유철·유승민 등 중진을 포함해 24명이 불출마를 했고 공천에서 20명이 탈락해 37%가량이 물갈이됐는데, 선거 결과 물갈이율이 25%포인트 가량 높아졌다.

당내 공천을 통과했지만 본선에서 낙선한 사례가 그만큼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을 고려할 경우 통합당에서 한국당으로 이적, 비례대표 국회의원에 당선된 정운천 의원이 당선인에 포함돼 물갈이율은 61.9%로 소폭 낮아진다.

현역 의원이 권은희 의원 1명인 국민의당은 권 의원이 비례대표 국회의원 당선인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물갈이율이 0%가 됐다.

국민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없이 비례대표 후보만 냈는데, 정당 투표에서 6.8%를 득표해 3석을 얻었고 이에 따라 비례대표 후보 3순위였던 권 의원이 당선됐다.

바른미래당 탈당을 위해 ‘셀프제명’을 했다가 이 방법이 인정받지 못하면서 의원직을 잃었던 이태규 전 의원은 비례대표 후보 2순위로 국회에 다시 입성했다.

반면 현역 의원이 20명인 민생당의 경우 21대 총선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당선자를 내지 못하면서 20명 모두 다른 당 의원으로 물갈이된 셈이 됐다.

한편 초선 의원은 지역구(108명)와 비례대표(47명)를 합해 155명으로 집계됐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