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인사청문 인격 상처 없이 능력 밝힐 기회를”

朴 “인사청문 인격 상처 없이 능력 밝힐 기회를”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 대선후 의원·당협위원장 첫 연석회의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6일 “인사청문회가 개인의 인격을 과도하게 상처 내지 않고 실질적인 능력과 소신을 밝힐 수 있는 기회를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면서 “법에 따라 정해진 절차를 통해 표결이 이뤄지는 민주국회, 상생의 국회가 되도록 여야가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2월 임시국회가 중요하다”면서 “정부조직개편안이 국회에서 원만하게 처리되고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들의 업무능력이 잘 검증되도록 해서 새 정부가 출범 즉시 민생문제 해결에 바로 매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가운데) 대통령 당선인이 6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에 들어서고 있다. 오른쪽은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 왼쪽은 김호연 원내부대표.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박근혜(가운데) 대통령 당선인이 6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에 들어서고 있다. 오른쪽은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 왼쪽은 김호연 원내부대표.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 사퇴,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청문보고서 채택 무산 등 주요 인선이 난항을 겪으면서 박 당선인은 새 정부의 첫 단추를 꿰기 위한 총리 인사청문회 등에서 친정인 여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 후보자의 인사 청문회를 전후해 ‘신상털기’ 검증이 지나쳤다는 지적이 일부 제기되면서 박 당선인이 청문회가 업무능력, 정책능력 검증 위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에둘러 강조한 것이다. 그는 지난달 30일 이후 당 소속 의원들과의 비공개 오찬에서 인사청문회 개선에 대해 몇 차례 의지를 밝혔지만 공개 석상에서 이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앞서 박 당선인 측에서는 “과도한 여론 검증을 꺼리는 인재들이 공직 진출을 고사하면서 조각이 늦어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박 당선인의 언급은 이르면 7일 지명될 총리 후보자 및 후보자 제청으로 임명될 장관 후보자 검증과정에 최소한의 보호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그는 ‘신상 검증은 비공개, 업무능력 검증은 공개’로 하는 미국식 인사청문회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당선인이 ‘법에 따른 절차를 통한 표결’을 강조한 것도 지난달 인사청문회 이후 2주째 표류 중인 이 헌재소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표결을 촉구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연석회의 참석자들도 박 당선인과 비슷한 입장을 밝혔다.

황우여 대표는 이 후보자에 대해 “아무것도 안 하고 (국회에서) 방치하는 것은 헌법정신에 맞지 않는다”면서 “인사청문특위에서 잘 논의를 해야겠다”고 말했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국회 표결이 원칙이긴 하지만 본인이 알아서 결단을 내려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이 250여명에 이르는 의원·당협위원장과 한자리에서 만난 것은 대선 이후 처음이다. 그의 연석회의 참석은 대선 후보 시절이었던 지난해 8월 31일이 마지막이었다. 이날 행사에는 최근 박 당선인 주최 오찬에 불참했던 이재오, 유승민 의원도 참석했다. 한편 유민봉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정기획분과위 간사는 이 자리에서 인수위 업무 보고를 진행하던 중 ‘새로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를 실수로 ‘새로 출범하는 박정희’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do.kr

2013-02-07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