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살린 인사 ‘깜깜이’에 빛 바래

전문성 살린 인사 ‘깜깜이’에 빛 바래

입력 2013-02-21 00:00
업데이트 2013-02-21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내각 인선 특징과 허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국무총리와 17개 부처 장관, 청와대 비서진 등 주요인사 30명에 대한 인선을 마무리했다.

측근 정치인을 배제해 정권 교체기마다 등장했던 ‘점령군 인사 시비’를 차단해 전문·효율성을 살렸다는 점에서는 평가를 받지만 밀봉·깜깜이 인사라는 비판도 적지않다. 폐쇄적인 인사는 부실 검증으로 이어졌다. 박 당선인이 강조한 국민대통합과는 거리가 멀어졌다는 평가도 많다.

박 당선인은 인사의 특징은 내각에는 관료와 전문가를 대거 배치하고, 청와대는 친정체제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내각에서 측근으로 분류하는 인물은 진영 보건복지부·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정도다. 나머지는 공무원 출신 8명, 교수와 연구원 6명 등 관련 전문가를 14명을 포진시켰다.

반면 청와대의 3실장-9 수석비서관에는 박 당선인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함께 일하거나 대선 때 조언그룹으로 참여하는 등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인사들이 9명이다.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출신, 인수위 인사, 친박(친박근혜) 등 ‘한번 써본 사람을 계속 중용한다’는 흐름이 이어지면서 지역안배, 여성 인재 발탁 등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내각과 청와대 주요 인사들은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영남에, 학연으로 성균관대 출신에 편중됐다.

때문에 이명박 정부의 ‘고소영’(고대·소망교회·영남)인사라는 말에 빗댄 ‘성시경’(성대·고시·경기고)인사라는 말도 나왔다. 한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박 당선인이 전문성이나 효율성, 친정체제 구축 등을 추구하다보니 대탕평 인사 기조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발탁된 인사들 가운데 박 당선인에게 쓴 소리를 할 사람이 없어서 민심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비판했다.

‘밀봉’ ‘깜깜이’ 인사도 문제였다. 누가 언제 발표되는지 모를 정도로 보안은 철저했지만 정작 후보자들도 “특별한 인연이 없다. 임명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인선 배경은 물론 후보자의 인적 사항에 대한 설명조차 없었다. 박 당선인 측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임명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은 20일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인사청문 요청 사유로 “능력과 도덕성, 책임감을 높이 평가했고 국민대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인품과 자질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5분여의 원론적인 언급만 있었다.

이런 인사 스타일때문에 첫 인선이었던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재산 증식, 두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으로 청문회도 열리기 전에 자진사퇴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2-21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