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입은 朴대통령 33년만에 靑입성…“감회 새롭다”

한복입은 朴대통령 33년만에 靑입성…“감회 새롭다”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심 리무진 카퍼레이드 이어 광화문 광장서 대형 복주머니 개봉

이미지 확대
취임식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오후 청와대 본관 정문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서 지난 1979년 11월 청와대를 나와 33년만에 다시 청와대 주인으로 돌와왔다.  연합뉴스
취임식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오후 청와대 본관 정문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서 지난 1979년 11월 청와대를 나와 33년만에 다시 청와대 주인으로 돌와왔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첫날인 25일 국회의사당에서 취임식을 마친 뒤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희망 복주머니’ 개봉 행사에 참석했다.

낮 1시께 광화문 광장에 도착해 승용차에서 내린 박 대통령은 화사한 한복 차림이었다. 금색 꽃무늬 장식이 들어간 붉은색 두루마기를 겉에 입었고, 아래쪽으로 파란색 치마가 보였다.

박 대통령은 과거에도 한복을 입은 적이 있다. 한나라당 대선 경선을 앞둔 지난 2007년 2월 미국을 방문하던 중 교민 환영회 행사장에서 한복 차림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박 대통령은 종로구 어머니 합창단의 공연과 진도 설북춤 공연이 펼쳐지는 가운데 화동 2명으로부터 꽃다발을 받아들고 행사장으로 올라섰다. 행사장에는 사람 키보다 훨씬 큰 대형 ‘희망 복주머니’가 설치돼 있었다.

박 대통령은 전통 예술인 4명, 국민대표 3명, 외국인 한옥 지킴이 1명 등 8명의 제막자와 악수를 나눈 뒤 함께 끈을 잡아당기며 대형 복주머니를 열었다.

복주머니 안에는 나무가 한 그루 세워져 있었고 가지마다 300여개의 오방색 복주머니가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

복주머니 하나하나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홈페이지 행복제안센터에 접수된 국민이 바라는 민원 메시지 가운데 선별한 내용이 들어 있었다.

박 대통령은 이 가운데 3개를 따서 안에 있는 종이에 쓰인 내용을 직접 읽고서 실천과 해결 의지를 천명했다.

’소망’의 상징인 복주머니를 박 대통령이 직접 개봉한 것은 대통령의 모토인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는 자세를 보여주면서 앞으로도 국민과 대화창구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또 한복을 입고 복주머니에 국민 메시지를 담은 것은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직접 선보이려 했다는 분석이다.

광화문 행사를 마친 뒤 박 대통령은 드디어 청와대로 들어갔다. 1980년 청와대를 떠난 지 33년 만에 ‘주인’으로 다시 들어간 것이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열린 청운효자동 주민들의 환영행사에서 주민대표와 대화를 하면서 “감회가 새롭다. 감회가 깊다”고 33년 만의 청와대 입성 소회를 밝혔다.

박 대통령은 주민들로부터 전나무 묘목이 담긴 화분을 선물로 받았다. 화분의 흙은 지난해 대선 공식선거운동 첫날인 11월27일 대전역 광장 유세에서 전국 17개 시도의 흙을 섞는 합토식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화분을 주신 것은 통합의 의미”라며 “그 뜻을 잊지 않고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태극기를 흔드는 주민들을 뒤로하고 청와대 본관으로 향했다. 본관 앞에는 비서실 직원들이 늘어서 박수를 치며 청와대에 입성하는 박 대통령을 환영했다.

꽃다발을 선물로 받은 박 대통령은 본관 앞에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 김행 대변인 내정자,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 이남기 홍보수석 내정자,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내정자 등 새로운 청와대 비서진과 차례로 악수하고서 본관에 첫발을 디뎠다.

박 대통령이 본관에 들어설 때 김 실장 내정자와 박흥렬 경호실장 내정자, 허태열 비서실장 내정자 등 실장급 3명이 뒤를 따랐다.

박 대통령은 곧바로 2층 집무실로 올라가 청와대에서 대통령으로서의 업무를 시작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