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는 데 힘 안 드는 대한민국 됐으면…”

“아이 키우는 데 힘 안 드는 대한민국 됐으면…”

입력 2013-02-26 00:00
업데이트 2013-02-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승현씨 가족 취임식 참관기

“지난해 1월 집사람이 한국 국적을 얻었어요. 기념으로 아내와 아이들에게 대통령 취임식을 보여 주고 싶었어요.”

이미지 확대
아내 라타리(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씨, 남편 공승현씨, 딸 아름, 아들 다운.
아내 라타리(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씨, 남편 공승현씨, 딸 아름, 아들 다운.
서울 구로구에 사는 공승현(42)씨는 25일 오전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을 찾은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공씨의 아내 라타리(27)씨는 캄보디아 출신으로 이들은 ‘다문화 가족’이다.

라타리씨는 대통령 취임식이라는 행사를 이날 처음 봤다. 캄보디아는 대통령제가 아닌 입헌군주제 국가이기 때문이다. 국왕이 군대의 최고 통수권자이고 행정부의 수장은 총리다.

“캄보디아에서는 시골에서 살았는데 큰 국가 행사가 있으면 동네에서 마을 사람들끼리 밥도 먹고 춤도 추고 해요. 이런 행사를 직접 보게 되니 너무 신기해요.”

라타리씨뿐 아니라 함께 온 딸 아름(6)이와 아들 다운(4)이도 추운 날씨에도 나들이를 나온 게 신이 난 듯 취임식장 이곳저곳을 기웃거렸다. 참석 신청을 4명까지만 할 수 있어서 두 살인 막내 우리는 라타리씨의 친구에게 맡기고 취임식장에 왔다. 2006년에 결혼한 공씨 부부는 세 아이 이름을 ‘아름다운 우리나라’에서 두 글자씩 따서 ‘아름’, ‘다운’, ‘우리’라고 지었다.

공씨에게 다문화 가족으로서 대통령에게 바라는 점을 물으니 그보다는 아이 셋을 둔 평범한 한국 가장으로서의 고민을 털어놨다.

공씨는 “아내가 한국 국적이 나왔으니 우리는 굳이 다문화 가정이라고 할 필요가 없다”면서 “한국 사람으로 사는 것이지 외국인으로서 사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애들이 셋이다 보니 아무래도 유치원비가 많이 들어요. 어린이집을 보내려고 해도 자리가 없어서 보낼 곳이 없고…돈도 많이 들고…아이를 많이 낳는 가정에 국가가 더 많이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공씨는 막내 우리는 어린이집에 보냈지만 아름이와 다운이를 돌봐줄 유치원은 찾지 못했다. 간신히 자리가 있는 곳을 찾으면 영어나 피아노 등 다른 과목도 배워야 한다며 추가 비용을 요구해 포기했다. 어쩔 수 없이 공씨는 직장을 갖는 대신 아름이와 다운이를 직접 집에서 돌보는 일을 맡았다. 생계는 아내가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에서 일하며 꾸리고 있다. 덕분에 라타리씨는 다른 이주 여성보다 한국어가 훨씬 빨리 늘었다. 공씨는 큰아이가 초등학교 3학년에 들어갈 때까지는 집에서 양육을 책임지기로 했다.

“대통령 연설을 들어 보니 경제 부흥 등 굉장히 큰 이야기들이 많더라고요. 저희들은 많은 것을 바라지 않아요. 아이들 키우는 데만 힘들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그렇게 되면 넷째 ‘나라’도 가질 수 있지 않을까요.”

글 사진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02-2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