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이 쓰던 가구·집기 靑으로 옮겨… 화장실까지 리모델링

朴대통령이 쓰던 가구·집기 靑으로 옮겨… 화장실까지 리모델링

입력 2013-02-26 00:00
업데이트 2013-02-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4년만에 귀환한 청와대 어떻게 달라지나

33년 3개월 만의 ‘청와대 귀환’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급서로 1979년 11월 21일 청와대를 떠난 뒤 2013년 2월 25일 대통령 신분으로 청와대로 돌아왔다.

60여년의 삶 가운데 15년을 청와대에서 보낸 박 대통령은 앞으로 5년을 다시 이곳에서 지내게 된다.

‘큰 영애(令愛)’ 시절의 박 대통령은 청와대를 ‘마당 넓은 집’으로 불렀다고 한다. 당시의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 동생 서영·지만씨 등 가족과 함께였지만 대통령 신분으로서는 가족 없이 홀로 지내야 한다.

헌정 사상 최초의 독신 여성 대통령을 어떻게 보필할지도 관심거리다.

가족을 거느렸던 남성 대통령이 점유했던 청와대는 경호나 의전부터 집무실·사저 인테리어까지 두루 바꿔야 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새로 이사 오는 박 대통령을 배려해 취임식 전날인 24일 오후 미리 관저를 비워줬다. 청와대 설비 관련팀은 밤새 이사 번개작전을 수행했다. 박 대통령이 쓰던 가구와 집기들이 고스란히 들어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집무실에 딸린 화장실도 기존 남성 변기를 들어내는 등 이런저런 공사가 만만치 않다”고 전했다.

청와대 제1부속실은 대통령 일정 전담, 제2부속실은 영부인 보좌 전담이었지만 제2부속실은 업무가 축소되는 대신 민원 업무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각별한 지시에 따른 조치다. 박 대통령의 의원 시절부터 그림자 수행을 했던 정호성 전 비서관이 제1부속 비서관, 안봉근 전 비서관이 제2부속 비서관에 내정됐다. 제2부속실은 주로 대통령에게 들어온 민원을 처리하는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반면 대통령 부인이나 직계 존비속을 전담했던 경호 인력 수요는 오히려 줄었다. 다만 대통령 곁에서 근접 경호를 하는 여성 경호인력은 현재 10여명 수준에서 더 보강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가족이 없는 이유로 강도 높은 업무 속에 스트레스를 감내해야 하는 속마음을 풀어줄 보좌진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구중궁궐로 비유되는 청와대 공간구조 재배치 등 리모델링론이 나오는 이유기도 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관저에서도 혼자 생활해야 하는 박 대통령이 적적함을 느끼지 않게 측근 보좌진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퍼스트 레이디’ 역할은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나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의 부인 최옥자 여사가 맡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남성이 맡았던 대통령 주치의도 여성으로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정치 입문 이후 고수해 온 올림머리를 도와주는 미용사도 함께 청와대행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3-02-26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