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거리 300→800㎞ 탄두 중량 500㎏ 유지 한·미 양국 잠정 합의

사거리 300→800㎞ 탄두 중량 500㎏ 유지 한·미 양국 잠정 합의

입력 2012-09-24 00:00
업데이트 2012-09-24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사일 개정협상’ 마무리 단계

지난해 1월 시작돼 21개월째 진행 중인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진입했으며, 다음 달 중순쯤 우리 정부가 새로운 내용의 미사일 정책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양국은 최종 합의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지만, 탄도미사일 사거리 기준을 현행 300㎞에서 800㎞로 늘리되 탄두 중량은 지금처럼 500㎏을 유지하는 쪽으로 의견 접근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부 지역 기준 北 전역 사정권

23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미사일 지침상 탄도미사일의 사거리와 중량 기준을 각각 800㎞와 500㎏으로 하기로 잠정 합의했으며 실무진이 후속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 미국 측과 일부 사항에 대해 미세 조정 중”이라고 밝혔다. 이대로 합의되면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는 2001년 정부가 채택한 미사일지침(300㎞)보다 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사거리 800㎞는 우리나라 중부 지역(대전)을 기준으로 북한 전역을 사정권에 둘 수 있는 수준이다.

●새달 중순쯤 미사일정책선언 발표

정부는 ‘우리 군이 적어도 한반도 전역은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명분에서 사거리 연장을 주장해 왔으며, 미국은 중국·러시아·일본 등 한반도 주변 국가들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반대해 왔다.

탄두 중량 500㎏ 기준은 유지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그동안 탄두 중량과 똑같이 규제된 무인항공기(UAV)의 탑재 중량은 대폭 상향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미사일 사거리나 탄두 중량뿐 아니라 북한에서 날아오는 미사일을 막을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 그러려면 정찰 기능 등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협상이) 패키지로 진행되고 있어 모든 것이 합의되기 전에는 최종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벨 “美, 韓사거리 연장 두려워해선 안 돼”

한편 버웰 벨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21일(현지시간)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 연장으로 북한 전역이 사정권에 들게 함으로써 그 지역의 어떤 것에든 위협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벨 전 사령관은 김희범 애틀랜타 총영사 초청 만찬에 참석, “우리(미국)는 (한국의) 사거리를 늘려야 한다. 그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면서 “북한도 미사일 사거리를 늘리고 로켓을 개발하고 있으며 중국도 그렇게 하고 있다. 한국이 주권국가인 만큼 자국 방어 차원에서라도 미사일 개발에 거리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서울 김성수기자·워싱턴 김상연특파원

sskim@seoul.co.kr

2012-09-24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