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비핵화’ 한·미·중 전략대화 본격화

‘北비핵화’ 한·미·중 전략대화 본격화

입력 2013-07-10 00:00
업데이트 2013-07-10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2일쯤 서울서 첫 회동 예정

북한 비핵화 논의를 위해 한국과 미국, 중국 간 3국 첫 전략대화가 오는 22일쯤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물밑에서 조율해 온 한·미·중 3각 공조가 공식화되는 것이다. 3국 정부의 6자회담 차석대표가 참석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중 3국 전략대화는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이행하기 위한 핵심 ‘외교 틀’로, 우리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한·미·중 정상의 연쇄적인 양자 회담 후 처음으로 3국의 정부 고위 관리와 전문가 그룹이 북한 비핵화 방안을 조율하는 ‘다자 협의체’가 본격화되는 의미도 크다. 한·중 양국과의 정상회담도 불투명한 일본의 역내 고립감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9일 “한·미·중 3국 전략대화가 22일쯤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북핵 관련 정부 인사와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반관반민(半官半民) 형식의 ‘1.5 트랙’으로 출범한다”고 말했다.

북한 비핵화가 한·미·중 3국의 전략대화에서도 핵심 의제로 부상한 만큼 북핵 대화 재개 방법을 놓고 3국 정부 간 직접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강조한 만큼 중국으로서는 북한의 진정성 있는 조치를 요구하고 있는 한·미와의 조율을 전략대화에서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중 3국 전략대화에는 6자회담 차석대표가 참석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다.

중국은 쉬부(徐步) 한반도사무 부대표가 참석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쉬 부대표는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함께 북핵 등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중국의 핵심 인사다.

미국은 홍콩 총영사로 임명된 클리퍼드 하트 6자회담 특사의 후임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국무부 대행이 참석하는 방안이 한·미 간에 논의되고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이도훈 북핵외교기획단장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3-07-10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