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 ‘유관 핵무기’ 표현은 北 지칭”

“한중 정상회담 ‘유관 핵무기’ 표현은 北 지칭”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군부 인사들 “북핵만 해당” 이달초 청와대에 보고서 제출

보수적인 중국 군부 인사들이 최근 우리 정부 측에 “지난달 한·중 정상회담의 공동 성명에 명문화된 ‘유관 핵무기’라는 표현은 북한 핵무기를 지칭한 것으로, 북핵만 해당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외교 소식통은 14일 “양국 정상회담 후 중국의 당·정·군 인사들과 연쇄적으로 접촉한 자리에서 복수의 군부 인사들이 ‘유관 핵무기’는 북핵을 지칭한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말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0일 언론사 논설실장 및 해설위원실장 오찬 간담회를 통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북핵은 절대 안 된다고 했다”고 공개한 데 이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다음 날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제 눈과 귀가 의심될 정도로 중국 지도자들이 확고한 북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했다”고 말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특히 윤 장관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관련) 암호를 많이 넣었다”며 표현 하나하나를 놓고 양국이 치밀하게 조율한 정황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측은 또 양국 정상이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를 ‘북한 비핵화’, ‘한국 비핵화’, ‘주한미군 비핵화’, ‘주변지역(주일미군) 비핵화’ 등 4개의 범주로 설명했다. 하지만 중국 당·정·군 인사들은 북한 핵을 제외한 나머지는 현재 위협 요인으로 판단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소식통은 “하지만 중국 군부 인사들이 앞으로 한반도에 한·미 동맹 차원의 전술핵 배치나 오키나와 주일미군의 핵배치 등의 가능성은 염두에 두고 있는 듯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중국 당·정·군 인사들의 생각은 별도의 보고서로 이달 초 청와대에 제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이 공동 성명에 ‘한반도 평화통일’이라고 표현한 것을 놓고도 양국 간 해석이 분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시 주석이 공동 기자회견에서 ‘자주적 평화통일’이라고 표현했지만 공동 성명에 ‘자주적’이라는 단어가 빠진 건 중국이 주한미군의 존재를 개의치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측은 한·미 동맹으로 인해 한·중 관계가 악화되지 않는다는 중국 측의 메시지로 해석하고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7-15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