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금강산 카드’에 남북 신경전 재개 양상

北 ‘금강산 카드’에 남북 신경전 재개 양상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산+관광’ 연계될까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 앞서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가 불거지면서 ‘남북 대화의 기류’에 미묘한 균열이 감지된다. 북한이 18일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23일)에 앞서 오는 22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제의, 이산가족 문제를 사실상 금강산 관광과 연계하면서 향후 대화 일정에 대한 섣부른 예단이 어렵게 됐다. 개성공단 발전적 정상화 합의로 잠시 멈췄던 남북 간 신경전이 다시 시작되는 양상이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
“우리의 소원은 통일” 어린이들이 18일 경기 파주시 임진각에서 남북 통일을 기원하는 문구가 적힌 태극기를 철조망에 걸고 있다. 정부는 최근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 접촉을 공식 제안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 장소를 금강산이 아닌 판문점에서 갖자고 거듭 제의한 것은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와 관련된 우리 정부의 부정적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종 판단은 뒤로 미뤘지만, 결국 북한의 제의를 거절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하지만 정부가 금강산 관련 실무회담을 거부할 경우 북한이 맞대응으로 이산가족 실무접촉을 거절할 수도 있어 일단 실무회담을 수용, 북한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모양새를 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가장 최고의 우선수위를 두고 해결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이날 제의는 금강산 관광 재개와 남북관계에 대한 우리 측의 ‘의지’를 떠보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금강산 실무회담 개최 날짜를 적십자 실무접촉에 앞서 제안한 것도, 금강산 관광 재개 관련 논의를 지켜본 뒤 우리 측의 요구를 어느 수준에서 받아들일지 판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번 적십자 실무접촉 기회에 과거 남북 각각 100명 안팎이던 상봉 인원을 늘리고 상봉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상봉이 정례화되면 남북관계 주요 고비마다 활용해 왔던 ‘이산가족 상봉’ 협상 카드를 잃게 되기 때문에 북한으로선 쉽게 양보할 수 없는 문제다. 만약 우리 정부가 북한이 원하는 답을 주지 않는다면 적십자 실무접촉이 열린다고 해도 일회성 이산가족 상봉 합의에 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8-1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