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군 임산부의 죽음] “위험한 임신 초기에 당직서 빠지면 요령 피운다 생각”

[여군 임산부의 죽음] “위험한 임신 초기에 당직서 빠지면 요령 피운다 생각”

입력 2013-09-16 00:00
업데이트 2013-09-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군맘’이 전하는 軍의 현실

여군 장교 박수정(가명)씨는 이신애 중위처럼 전방에 근무하면서 최근 출산한 ‘밀리터리맘’이다. 그는 “저출산이 국가적 문제라고 하지만 신체 건강한 여성이 군에 왔다가 임신을 못하게 되는 게 현실”이라며 “모성 보호에 대한 인식이 낮을뿐더러 육아를 지원하는 제도도 찾아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신애 중위 사건이 남의 일 같지 않았을 텐데.

-임신 중에도 새벽까지 근무하는 일이 빈번했다. 뒷말이 나올까봐 오기로 더 했다. 이 중위도 똑같았을 것이다. 보통 5~6명이 돌아가면서 야간 당직을 하는데 임신했다고 빠지기 어렵다. 임신 초기가 더 위험한데도 당직에서 빠지면 요령 피우는 걸로 생각한다. 복무 규정상 임신하면 부종이나 임신 중독증이 생길 수 있어 전투화를 신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일부 남자 간부들은 ‘복장이 왜 그 모양이냐’며 핀잔을 준다. 사단마다 여군은 50~100명이지만, 대부분 미혼이거나 아이를 낳지 않는다.

→임신한 여군에 대한 의료 지원은.

-산부인과 전공 군의관을 찾아보기도 어렵지만, 솔직히 남자 군의관의 진료를 받고 싶지도 않다. 부인과 진료를 민간에서 받으면 진료비 청구가 가능하지만 진료 기록을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꺼려진다. 입대 후 생리 불순이 생기고 불임 사례도 많다. 하지만 훈련소 입소 전 한 차례 산부인과 검사를 의무화했을 뿐 이후 알아서 해야 한다. 부인과 항목은 정기 건강검진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야전에서 산부인과 검진은 어려운가.

-전방에는 아예 산부인과가 없다. 매달 한 차례 (정기검진을 받도록) ‘임신 휴가’ 제도가 있지만 한 번도 사용해 보지 못했다. 쓰는 사람을 아예 못 봤다. 위수 지역 내에 산부인과가 있으면 주말에라도 진료를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휴가를 내야 한다.

→출산 이전과 이후 언제가 더 힘든가.

-이후가 더 힘들다. 선배들을 보면 첫째를 낳고 대개 복직한다. 둘째를 출산하면 아예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 전방에 보육 시설도 없고 소아과도 드문 데다 출퇴근도 불규칙적이어서 육아가 어렵다. 위수 지역 밖(시댁이나 친정)에 맡겨야 하는데 한 달에 한 번 휴가를 내고 아이를 볼까 말까 하다. 셋째를 출산해야 취학 전까지 당직에서 빼주는 식이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9-1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