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차장 김현집, 기무사령관 이재수…軍인사

합참차장 김현집, 기무사령관 이재수…軍인사

입력 2013-10-25 00:00
업데이트 2013-10-25 1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방사령관 김용현, 특전사령관 전인범, 기무사령관 6개월 만에 교체…박지만씨 육사 동기, 요직 포진

군 수뇌부 인사에 이어 정부가 25일 중장급 이하 장군 인사를 단행했다.

사상 최초의 해군출신 합참의장 탄생에 따라 이번 인사에서는 그동안 해·공군 몫이었던 합참차장에 육군 김현집(56·육사36기) 중장이 임명됐다.

25일 합동 참모차장으로 임명된 육군 김현집(56·육사36기) 중장.  국방부 제공
25일 합동 참모차장으로 임명된 육군 김현집(56·육사36기) 중장.
국방부 제공


25일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된 이재수(55·육사37기) 중장(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육군 특전사령관으로 임명된 전인범(55·육사37기), 해군 참모차장으로 임명된 엄현성(해사35기) 소장,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으로 임명된 김용현(54·육사38기) 소장.  국방부 제공
25일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된 이재수(55·육사37기) 중장(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육군 특전사령관으로 임명된 전인범(55·육사37기), 해군 참모차장으로 임명된 엄현성(해사35기) 소장,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으로 임명된 김용현(54·육사38기) 소장.
국방부 제공
또 기무사령관에 이재수(55·육사37기) 중장이 임명됐다. 장경욱 현 기무사령관이 지난 4월에 임명됐다는 점에서 이번 기무사령관 교체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신임 이재수 기무사령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남동생인 박지만 EG 회장과는 육사와 서울 중앙고 동기로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다.

이번 인사에서는 특전사령관에 전인범(55·육사37기), 수방사령관에는 김용현(54·육사38기) 소장이 각각 중장으로 진급해 새로 임명됐다.

육군 인사사령관에는 모종화(육사36기) 중장이 발탁됐다. 장경욱 현 기무사령관은 이번에 진급되지 않아 올해 말 전역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신원식(육사37기) 현 수방사령관은 합참 작전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종배(육사36기)·조보근(육사37기) 소장은 각각 임기제 중장으로 진급해 교육사령관, 국방정보본부장에 보임됐다.

박지만씨 육사 동기인 37기가 기무사령관 등 군의 핵심 요직에 두루 포진한 것이 이번 인사의 가장 특징으로 꼽히고 있다.

해군에서는 엄현성(해사35기)·이기식(해사35기) 소장이 중장으로 진급해 참모장과 해사교장으로 각각 임명했다.

육군에서는 나상웅(3사16기) 소장이 중장으로 진급해 군단장에 진출했다. 북한군 노크귀순으로 책임을 졌던 엄기학(육사37기) 소장은 중장 진급과 함께 군단장에 임명됐다.

또 육사 41기인 이석구·김일수 준장 등 7명이 소장으로 진급해 사단장에 보임됐다. 육사 41기는 이번에 처음으로 사단장으로 진출했다. 박철균(육사42기) 대령 등 58명은 준장으로 진급했다.

이번에 육사 38기와 41기가 최초로 각각 군단장과 사단장에 진출하게 됐다.

해군에서는 박성배(해사38기) 준장 등 3명이 소장으로 진급, 함대사령관 등에 보임됐고, 해병대는 황우현(해사37기) 준장이 소장으로 진급해 사단장으로 진출한다.

해군 준장 진급자는 김종삼(해사41기) 대령 등 11명이다. 해사 41기는 이번에 처음으로 별을 달았다.

공군은 신재현(공사31기) 준장이 소장으로, 공평원(공사33기) 대령 등 15명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여군에서는 간호병과인 최경혜(간호사관 22기) 대령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국방부는 “정부의 국정 철학을 공유하면서 국가관과 안보관이 투철하고 통합작전 수행 능력과 덕망, 통솔력을 고루 갖춘 우수자를 선발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준장 진급의 경우 통상 3차 진급까지만 가능하던 관행에서 탈피하기 위해 4차 이상 준장 진급자를 작년 대비 20%나 늘어난 31명으로 늘렸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