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집단자위권, ‘용인 또는 아니다’로 접근안해”

“日집단자위권, ‘용인 또는 아니다’로 접근안해”

입력 2013-10-31 00:00
업데이트 2013-10-31 15: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병세 “안보·국익에 어떤영향 미칠지가 더 심각”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31일 일본의 집단자위권 추구에 대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우리의 동의 없이 행사될 수 없다”면서도 “우리 정부가 ‘용인이다 아니다’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우리 정부가 일본의 집단자위권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는 민주당 심재권 의원의 질의에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는 별개의 문제다. 과거 샌프란시스코조약 등에 의해 여러 국가가 일본의 집단자위권을 인정해버린 사실이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우리는 큰 차원에서 접근한다”면서 “일본의 집단자위권을 용인하느냐 안 하느냐 문제보다는 일본의 방위력과 안보역할 증대가 우리 안보와 국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 등 이런 것이 훨씬 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의 이 같은 답변에 심 의원은 “장관 말씀은 참으로 위험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서 “집단자위권 등을 통한 일본의 재무장이 마치 필요한 것처럼 들리는 말씀”이라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일본이 보통국가인지 전범국가인지에 대한 민주당 김한길 대표의 질문에 “과거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본다”면서도 “단순화해서 답할 사안이 아니다”고 즉답을 피했다.

유엔헌장상 일본이 보통국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적국조항이 남아 있지만 이는 실질적 의미가 없다. 이미 독일을 포함해 2차대전 당시 적국이 큰 문제 없이 실질적으로 유엔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법률적 의미로서 조항만 남아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진해중인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과 관련, 미측이 상당한 액수의 증액을 요구하고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그쪽(미측)에서 희망이 그렇다”면서 “그렇지만 아직 액수 문제가 깊이 들어가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각국 정상에 대한 도청 의혹에 대해 “다양한 레벨에서 미측에 확인사실과 관련 정보를 요청한 바 있다”면서 “구체적 사안이 밝혀지는 대로 엄중하고 분명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