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전자출입체계 공사 시작…‘3통’해소 첫 삽

개성공단 전자출입체계 공사 시작…‘3통’해소 첫 삽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사중재위 우리측 명단도 통보

개성공단의 전자출입체계(RFID) 도입 공사가 11일 시작됐다.

김의도 대변인 브리핑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성공단 공사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의도 대변인 브리핑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성공단 공사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일부는 이날 오전 우리측 기술진 3명이 북측 인원 11명과 함께 굴착기를 비롯한 개성공단 내 현대아산 소유 건설장비를 이용해 RFID 장비 설치를 위한 터파기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공사를 마무리하는 게 목표지만, 기술적인 문제와 한겨울이 다가온다는 점에서 완공이 내년 초로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남북 출입사무소가 통신 회선으로 연결돼 출입자 명단을 전산 처리하는 RFID 시스템이 구축되면 출입예정 당일에 한해 자유롭게 개성공단을 드나들 수 있게 된다.

현재는 개성공단 출입이 미리 통보한 시각에만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RFID 시스템이 운영되더라도 방북 사흘 전에 통일부에 통보해야 하는 점은 변함이 없다.

개성공단 조성 초기 때부터 거론돼온 해묵은 숙제인 통신·통행·통관(3통) 개선 문제는 이번 공사로 일단 진전을 보게 됐다.

남북은 이미 2007년 남북총리회담과 장성급 군사회담을 통해 3통 해소에 관한 당국 간 합의와 군사적 보장까지 마쳤지만, 구체적 이행 방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금껏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편 정부는 남북이 합의한 개성공단 상사중재위원회에 참석할 우리측 위원을 확정하고 이날 북측에 명단을 통보했다.

우리측 위원장은 최기식 법무부 통일법무과장이 맡고, 김상국 통일부 제도개선팀장, 이영호 대한상사중재원 본부장, 이석 KDI 연구위원, 윤병철 변호사 등 4명이 위원으로 위촉됐다.

상사중재위는 개성공단에서 일어나는 각종 분쟁을 조정하는 기구로, 남북은 지난 9월 공동위 2차회의에서 3개월 내에 구성을 완료하자고 합의했다.

3통 해소를 비롯한 개성공단의 제도 개선 작업은 최근 장성택 숙청으로 북한 내부 권력 구도가 격변하는 가운데서도 별다른 영향 없이 순항하는 중이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장성택 숙청이) 개성공단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현재로서는 나타난 것이 없다”며 “개성공단에서 북한 근로자들이 같이 근무하지만 최근 북한 내부 정세 관련해서는 서로 언급을 자제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