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사 월급서 적립…전역 때 100만∼200만원 지급 추진

병사 월급서 적립…전역 때 100만∼200만원 지급 추진

입력 2013-12-29 00:00
업데이트 2013-12-29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 내년부터 ‘희망준비금’ 제도 본격 추진

국방부는 병사의 월급 중 일부를 적립해 전역할 때 일시금으로 주는 ‘희망준비금’ 제도를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29일 “병사 봉급 중 5만∼10만원을 매달 적립해 전역 때 100만∼200만원을 지급하는 방식의 희망준비금 제도를 내년부터 도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희망준비금을 적립해주는 시중은행을 공개 모집할 방침”이라며 “적금 이율은 시중금리보다 높고 이자소득세도 면제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당초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에 따라 병사 월급을 2017년까지 2배로 인상하고 별도로 전역 때 희망준비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재원 부족을 이유로 희망준비금은 병사 봉급 인상분을 적립하는 방식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희망준비금 적립에는 정부의 재정지원이 전혀 없어 전역 후 등록금 마련이나 사회적응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희망준비금 대선공약이 사실상 폐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2012년 기준으로) 2017년까지 병사 봉급을 2배로 인상하는데 재원이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희망준비금에 재정을 투입하기 어렵다”며 “봉급 2배 인상이 마무리된 이후에는 국방예산 투입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내년 병사 봉급이 15% 오른다고 해도 상병 기준 월급이 13만4천원에 불과해 5만∼10만원을 매달 적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국방부는 또 병영문화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내년에 무인항공정비사, 수중발파전문사, 항공유류품질관리사 등 국방기술 분야 국가자격증 3개를 신설하고 2017년까지 최소 15개 국방 분야 자격증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입영 전야 토크 콘서트’를 도입해 장병들이 입대 전 군과 사회의 거리감을 좁히는 기회도 마련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올해 병영문화선진화 성과로 ▲ 전군 중대급 부대에 수신전화기 6천652대 설치 ▲ 디지털TV 3만대 보급 ▲ 군 복무 중 원격강좌를 통한 학점이수 제도 확대 시행 ▲ 체력단련기구 2천322개 부대에 설치 등을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