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北, 용인할 수 없는 도발… 국제사회 대응 주도”

한·중·일 “北, 용인할 수 없는 도발… 국제사회 대응 주도”

이석우 기자
입력 2016-08-24 22:56
업데이트 2016-08-24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국 외교장관 공동 기자회견

한·중·일 3국 외교장관은 24일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가 ‘용인할 수 없는 도발’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면서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해 유엔 안보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주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북한의 도발 행동 자제와 안보리 결의 준수를 강하게 촉구해 나갈 것임도 확인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도쿄에서 회담을 한 뒤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3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맞서 북핵 불용, 추가도발 억지,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또 올해 일본에서 열릴 차례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의 연내 개최 성사를 위해 3국이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는 결정하지 못했다. 회담 뒤 공동성명문, 공동성명 등도 발표하지 못했다.

일본과 중국 사이에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영토 분쟁, 한국과 중국 간에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방침 등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으면서 냉랭한 관계를 해소하지 못한 까닭이다.

이날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측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양국의 합의 사항을 충실하게 이행해 나가기로 했다. NHK는 기시다 외무상이 회담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각의(국무회의)에서 피해자 지원을 위해 한국에 설립된 재단에 일본 정부가 10억엔(약 112억원)을 출연하는 방안을 의결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 정부의 출연금 지급이 완료되면 한·일 합의에 따른 일본 측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면서 “소녀상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를 착실히 이행해 달라고 한국 측에 요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3국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 윤 장관은 “한·일 양국은 연내 개최에 적극적이고, 중국은 약간의 자신들 의견을 피력하고 있지만 그 자체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잘 조율한다면 연내 정상회담 실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6-08-25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