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양국의 민간 전문가들이 사드와 한·중 관계, 북핵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1일 한자리에 모였다. 양국 전문가들은 특히 사드 배치 문제를 둘러싸고 분명한 시각차를 보였다.
통일아카데미와 동아시아평화연구원은 이날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한반도 정세 진단과 발전적 한·중 관계 모색’을 주제로 제1회 한·중 서울평화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 참석한 중국 측 정치평론가 덩위원은 “한·중 관계는 사드 배치 문제로 이미 소원해졌다”며 “이 문제를 처리하지 못할 경우 미래 양국 관계는 심히 걱정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덩위원은 “사드 문제는 각자 조금씩 양보하면 양국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사드 레이더를 실제 사용하지 않거나 중국을 겨냥하고 있지 않다고 표명하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반면 한국 측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은 “사드가 중국에 위협이 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중국이 정말 절실하게 사드를 막는 것이 전략상 중요한 문제였다면 대안을 제시하며 설득했어야 하는데 이를 못 했다”고 지적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통일아카데미와 동아시아평화연구원은 이날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한반도 정세 진단과 발전적 한·중 관계 모색’을 주제로 제1회 한·중 서울평화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 참석한 중국 측 정치평론가 덩위원은 “한·중 관계는 사드 배치 문제로 이미 소원해졌다”며 “이 문제를 처리하지 못할 경우 미래 양국 관계는 심히 걱정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덩위원은 “사드 문제는 각자 조금씩 양보하면 양국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사드 레이더를 실제 사용하지 않거나 중국을 겨냥하고 있지 않다고 표명하는 방법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반면 한국 측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은 “사드가 중국에 위협이 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중국이 정말 절실하게 사드를 막는 것이 전략상 중요한 문제였다면 대안을 제시하며 설득했어야 하는데 이를 못 했다”고 지적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09-02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