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APEC 전에 사드매듭 푼다… 이르면 이번주 입장 표명

韓·中, APEC 전에 사드매듭 푼다… 이르면 이번주 입장 표명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7-10-29 22:24
업데이트 2017-10-30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정상 만나기 전 실무 정리해야” 안보실 2차장도 비공개로 中방문

文, 시에 축전 보내며 “협력 기대”… 일각 “섣부른 예단 中 자극 우려”

한국과 중국이 다음달 10~11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을 추진하고자 실무 조율 중이며, 이번 주 중 양국 간 최대 현안인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해 조율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도 최근 비공개로 중국을 다녀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지 확대
왕이, 노영민 대사 만나 “양국 관계 진전 기대”
왕이, 노영민 대사 만나 “양국 관계 진전 기대” 노영민(오른쪽) 주중 한국대사가 29일 중국 베이징 노동자체육관에서 열린 중국 외교부 주최 국제자선바자회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처음으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왕 부장은 “노 대사 부임 이후 양국 관계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중 한국대사관 제공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9일 “사드 문제는 한·중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일종의 ‘필요충분조건’으로, 정상회담을 열려면 당연히 사드를 먼저 얘기해야 한다”면서 “APEC 정상회의 기간을 고려하면 적어도 이번 주에는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두 정상의 부담을 덜려면 실무 차원에서 정리할 것은 정리하고,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결단을 통해 정리할 수 있는 부분은 남겨 놓고 실무조율을 매듭지어야 한다”면서 “한·중 정상회담이 잡힌다는 것은 적어도 이런 과정이 마무리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정상회담 전 사드 문제를 매듭짓는 데 주력하되 타협점을 찾지 못하더라도 사드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우려를 충분히 듣고 우리의 입장을 전달해 한·중 정상회담에서 최종 마침표를 찍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드 문제가 원만하게 조율된 뒤 APEC에서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한결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새로운 한·중 관계를 위한 미래지향적인 대화가 오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도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4강(미·중·일·러) 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하며 노영민 주중 대사에게 “사드 문제를 넘어 한·중 관계를 우리 경제 교역에 걸맞게 비약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같은 날 문 대통령은 집권 2기 체제를 출범시킨 시 국가주석에게 축전을 보내 “가까운 시일 내 다시 만나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를 다방면에서 심화시키고,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며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런 논의의 시작점이 될 APEC 계기 한·중 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는 향후 양국 관계를 가늠할 ‘리트머스 시험지’와도 같다.

다만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한·중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의제까지 조율한다는 것은 다소 이른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이 사드 합의문을 요구했다는 등의 잘못된 정보가 되레 중국을 자극하고, 섣부른 예단이 한·중 정상회담을 그르칠 수 있다”면서 “속단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10-30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