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고른 남북… 공 넘긴 북·미

숨 고른 남북… 공 넘긴 북·미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8-03-01 23:54
업데이트 2018-03-02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美가 ‘적절한 조건‘ 만들어야”…장기화 땐 우리정부 조율 ‘헛심’

올해 초부터 숨 가쁘게 진전돼 온 남북관계가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면서 표면적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북·미 대화를 조율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물밑 노력’은 지속되고 있지만 북한과 미국의 대화 문턱이 쉬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방남 이후 북한의 태도가 북·미 대화 가능성을 가늠할 척도가 될 전망이다.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1일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가 말하듯이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서만 (북·미) 대화가 가능하다면 그 조건은 미국이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트럼프 행정부가 내비치는 조·미(북·미) 대화의 가능성’ 기사에서 “조선이 마치나(마치) 제재와 압력에 굴복하여 대화를 구걸한 것처럼 국제여론을 오도하였다”며 “핵보유국 조선과의 무력충돌을 피하려 든다면 트럼프는 조선과 대화할 방법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북·미 간 기싸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4월 초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앞두고 조율에 나서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을 만나기 위한 일정을 조율 중이다. 미국이 오는 9일 시작하는 평창패럴림픽에 키어스천 닐슨 국토안보부 장관을 파견키로 했고, 북한도 4명의 대표단을 보낸다. 한국의 중재에 따라 북·미 간 접촉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지만 북·미는 공을 서로에게 떠넘기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우선 ‘북한의 입’에 주목하고 있다. 백악관이 북한의 대화 용의에 대해 “비핵화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가는 첫걸음을 뜻하는지를 지켜보겠다”고 북한에 공을 다시 넘긴 데다, 김 부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고 간 직후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강경한 입장에 따라 북한이 북·미 대화는 장기적으로 접근하고 남북관계 개선에만 초점을 둘 경우 북·미 대화를 조율하는 한국은 난감한 상황이 될 수 있다. 반면 북한이 올 초부터 보인 적극적 대화 의지를 지속할 경우 한국은 미국의 문턱을 낮추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그동안 대화 의지가 있는 북한과의 관계 진전은 순조로웠지만 비핵화 대화를 원하는 미국의 문턱을 낮추는 것은 쉽지 않은 숨 고르기 상황”이라며 “하지만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대화 의지가 높기 때문에 남북 대화가 진전될 경우 미국도 결국 한국의 북·미 대화 요구를 수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3-02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