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물은 퀴즈중 “제가 누굴까요”?

공보물은 퀴즈중 “제가 누굴까요”?

입력 2010-05-31 00:00
업데이트 2010-05-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독산동에 사는 이모(52·여)씨는 29일 집으로 배달 온 선거공보물을 보고 기겁을 했다. 분량과 무게가 웬만한 월간 잡지 한 권과 맞먹는 두툼한 봉투에는 무려 140여쪽의 자료가 담겨 있었다. 후보자 수가 35명에 달해 대충 훑어보는데 꼬박 하루가 걸렸다. 이씨는 “교육감과 교육의원, 구의원과 비례대표 구의원의 출마자들과 개념이 헷갈려 공보물을 한참 들여다봐야 했다.”면서 “선거에 관심없는 사람들은 복잡한 공보물을 보다가 오히려 투표를 포기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종로구의 한 유권자가 집으로 배달된 수많은 선거공보물을 방안에 펼쳐 놓고 살펴보고 있다. 서울 관악구 등 32개 지역에는 각각 51명의 후보가 출마해 공보물이 500여쪽에 이른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30일 서울 종로구의 한 유권자가 집으로 배달된 수많은 선거공보물을 방안에 펼쳐 놓고 살펴보고 있다. 서울 관악구 등 32개 지역에는 각각 51명의 후보가 출마해 공보물이 500여쪽에 이른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6·2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불친절한’ 선거공보물이 후보 검증에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높다. 서울 영등포구와 관악구의 32개 투표구에는 출마자가 가장 많은 51명에 이른다. 선거공보물만도 500여쪽에 달해 이들 투표구 집집마다 공보물과의 전쟁을 치른다. 지역구마다 후보자가 수십명에 달해 공보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공보물이 늑장 배달되고, 일부 후보의 자료는 누락돼 선거관리의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인명부 확정 이틀 뒤인 지난 28일까지 투표안내문과 선거별 후보자의 공보물을 유권자에게 발송해야 한다.

선관위도 공보물 발송 전쟁을 치른다. 공보물은 발송 이후 우체국을 거쳐 각 가정에 배달되기까지 일부 지역의 경우 최대 3~4일이 걸린다. 유권자들은 늦으면 투표일 1~2일 전에야 공보물을 받게 된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후보자들의 면면과 정책을 꼼꼼히 살펴보지 못한 채 투표장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각 선관위 홈페이지에는 투표 3일 전인 30일 투표 안내문과 선거공보물을 받지 못했다는 유권자들의 불만이 쇄도하고 있다. 경남 창원에 사는 박모(57)씨는 “선관위는 후보자가 많아 공보물 제작과 발송에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을 예상했을 텐데 미리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고 꼬집었다. 광주광역시에 사는 최모(33·여)씨도 “생각할 시간도 주지 않고 인물중심선거·정책선거를 치르라고 홍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문제점은 인정하지만) 공보물 발송은 투표일 일주일 전에 이뤄지는 선거인명부 확정 이후에 되기 때문에 임의 조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유권자들은 공보물을 보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후보자 대부분은 공보물에 기호와 이름을 부각한 반면 자신이 출마한 직책과 정당은 눈에 잘 띄게 명시하지 않아 구별이 어렵다. 유권자들은 “엄청난 양의 선거공보물을 정당별로나 출마 직책별로 분류해 알아보기 쉽도록 해 달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부 선거구에서는 발송과정에서 특정 후보의 공보물이 빠져 논란을 빚고 있다. 서울 은천동 2300여가구에 발송된 공보물 가운데 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곽노현 후보의 공보물이 빠져 곽 후보가 선관위를 고발키로 했다. 선관위는 29일 곽 후보의 공보물을 추가 발송했다. 하지만 공보물 의존도가 높은 이번 선거에서 공보물 누락은 당락에 영향을 미칠 공산도 있어 후유증도 우려된다. 함께 발송된 투표안내문도 불친절하기는 마찬가지. 한 유권자는 “투표장소가 그려진 약도가 너무 간략해 투표 당일 급히 찾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동사무소가 작성한 투표소 약도를 구 선관위가 최종 관리한다.”고 밝혔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0-05-31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