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현 가능한 민생공약 후보에 한 표”

“실현 가능한 민생공약 후보에 한 표”

입력 2012-12-18 00:00
업데이트 2012-12-1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권자는 이런 후보 뽑는다

18대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지난 12일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를 종합하면 어느 후보를 지지할지 마음을 정하지 못한 부동층도 전체 유권자의 10% 선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표심을 굳힌 유권자들은 어떤 기준으로 후보를 선택했을까.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 보고 투표권을 현명하게 행사하기 위해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들어 봤다.

회사원 남지은(26·여)씨는 “실현 가능성이 있는 정책을 내놓는 후보, 정치 경험이 풍부한 후보”를 선택 기준으로 꼽았다. 남씨는 “오랜 세월의 정치 경험이 있어야 신뢰가 간다.”면서 “후보가 내놓은 공약이 웅장하거나 혁신적이지 않더라도 당장 현실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민생 공약을 중시하는 유권자도 많았다. 자영업자인 박정철(59)씨는 ‘서민이 최우선인 후보’를 내세웠다. 박씨는 “선거운동 때야 ‘서민을 떠받들겠다’고 철석같이 약속하지만 청와대로 가고 나면 다들 입을 씻더라.”면서 “서민 민생을 챙기고 공평 과세를 실현하고 특권층, 재벌에게 특혜를 주지 않는 공정한 후보가 최고”라고 강조했다. 3년차 직장인 원준모(33)씨는 “반값 등록금, 주택정책 같은 민생 정책을 잘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우선순위를 제시했다.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 구조로 변화되기를 기대하는 이들도 있었다.

외국계 기업에 다니는 유영민(46)씨는 “사회 전반적인 의식 개혁이 중요하다.”면서 “기회의 평등 같은 사회정의 원칙을 정착시킬 수 있는 인물을 찍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학생 김수지(25·여)씨는 “과정으로서의 소통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면서 “행정의 효율성이 아니라 결정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절차를 강조하는 대통령을 보고 싶다. 예산안 날치기 처리, 제주 해군기지 사태 때 보여줬던 정부의 모습은 앞으로 안 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회사원 김혁(33)씨는 “도덕성이 후순위로 밀린 후보를 선택해 지난 5년 동안 시민권이 퇴보한 것 같다.”며 한 표 행사의 기준을 나름대로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미래 비전이 구체적인 후보를 선택할 것과 지지하는 이유를 분명히 정리할 것, 최악의 선택은 피할 것 등을 투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다.

황영민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간사는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이고 역시 중요한 시대정신은 경제민주화, 사회복지 실현, 검찰 개혁, 정치 투명성 확보 등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비전과 리더십이 확고한 후보를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김상혁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치입법팀 간사는 “후보 이미지가 아니라 국정 운영을 어떻게 펼칠지, 야당·국민과 어떻게 소통할지 등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를 분명히 적어 보고 투표장에 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12-18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