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층이 절반… ‘깜깜이’ 교육감 선거

부동층이 절반… ‘깜깜이’ 교육감 선거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8-06-08 18:10
업데이트 2018-06-08 18: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개 시·도 중 12곳 부동층 50% 넘어 북미 회담·월드컵 등 밀려 무관심 극에 정당 공천 없어 진영 논리로 변질 우려 러닝메이트·직선제 등 제도 개선 필요 “지지자 투표율이 득표율 결정할 것”

이미지 확대
조희연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교육감 후보 정책발표회’에서 “자사고 학생 선발 방식부터 추첨제로 바꾸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조희연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교육감 후보 정책발표회’에서 “자사고 학생 선발 방식부터 추첨제로 바꾸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박선영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강동구 둔촌동역 인근에서 자신의 이름을 크게 써 붙인 햇볕 가리개를 쓰고 거리를 지나는 시민에게 선거 명함을 건네고 있다.  연합뉴스
박선영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강동구 둔촌동역 인근에서 자신의 이름을 크게 써 붙인 햇볕 가리개를 쓰고 거리를 지나는 시민에게 선거 명함을 건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조영달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 인근 횡단보도 앞에서 녹색 신호를 기다리는 시민들에게 자신의 공약 등이 담긴 선거 유인물을 나눠주고 있다.  연합뉴스
조영달 서울교육감 후보가 8일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 인근 횡단보도 앞에서 녹색 신호를 기다리는 시민들에게 자신의 공약 등이 담긴 선거 유인물을 나눠주고 있다.
연합뉴스
8일 전국 17개 시·도 교육 정책을 책임지는 교육감 선거가 닷새 앞으로 다가왔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절반 이상이 부동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깜깜이 선거’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교육감 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진영 논리에 따라 당선자가 결정되는 선거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며 제도 개편 필요성도 제기했다.

지난 6일 KBS·MBC·SBS·한국리서치 등이 공동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교육감 선거가 실시되는 17개 시·도 지역 중 12곳에서 응답자 50% 이상이 지지하는 후보가 없거나 모른다고 답한 부동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층 비율은 인천이 64.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충남(63.2%), 대구(61.8%), 경북(60.1%) 순으로 높았다. 부동층 비율이 가장 낮았던 지역은 전북이다. 그럼에도 부동층(37.3%)이 가장 지지율이 높았던 김승환(29.9%) 후보보다 많았다.

이번 선거가 북·미 회담이나 월드컵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낮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부동층이 64.5%였던 인천의 경우 인천시장의 부동층은 37.3%에 불과했다. 충남 역시 충남지사 여론조사 부동층은 39.7%로 교육감 선거보다는 관심이 높았다. 교육감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유독 낮다는 뜻이다.

서울의 한 교육감 후보 캠프 관계자는 “교육감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워낙 낮기 때문에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사전선거를 적극 독려했다”면서 “지지자들을 얼마나 투표장으로 나오게 하는지가 득표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권자들의 관심도가 워낙 낮다 보니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후보들도 선거 결과를 쉽사리 예단하지 못하고 있다. 전남의 한 교육감 후보 캠프 관계자는 “부동층이 워낙 높다 보니 선거가 끝날 때까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현시점에서 부동층 흡수 전략은 대면 접촉이라고 보고 후보가 하루 3~4시간씩만 자며 하루 15~16개의 행사에 참여하는 초인적인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교수는 “이번 선거의 경우 전체적으로 관심이 낮고, 판세가 예측 가능하다 보니 진보나 보수 진영의 고정 지지자들도 투표장에 나오지 않는 경향이 높을 것”이라면서 “특히 정당 공천이 없는 교육감 선거는 진영 논리에 따라 선거 결과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2010년 첫 전국 교육감 선거 이후 이번이 세 번째임에도 지난 선거보다 관심이 더 낮은 모습”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콘텐츠가 좋은 후보도 진영 논리에 묻혀 사라질 수 있다. 이번 선거도 진영 논리에 따라 결과가 결정되면 이후 시·도 광역단체장과 함께 출마하는 러닝메이트제나 직선제 개편 등 교육감 선거에 대한 제도 개선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6-0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