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NGO에 ‘北주민 인터넷 사용 금지’ 통보

북한, NGO에 ‘北주민 인터넷 사용 금지’ 통보

입력 2011-04-05 00:00
업데이트 2011-04-05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당국이 최근 북한에서 활동하는 외국 비정부기구(NGO)의 일을 돕는 북한 주민이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조치하라고 해당 NGO에 통보했다고 아사히신문이 5일 보도했다.

북한의 이번 조치는 이집트 등 중동 국가에서 이는 민주화 운동의 여파를 경계해 정보 통제를 강화하려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이 신문은 한국 정부 관계자의 분석을 통해 이같이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최근 북한에 있는 NGO에 “주민이 인터넷 사용할 수 없도록 하라. 철저히 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받은 NGO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

북한에서는 외국 NGO와 무역 관련 기관 등이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서는 외국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다.

북한 당국은 또 외국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는 인물에 대한 감시와 단속을 최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 약 4만6천명이 직장에서 개성시로 돌아갈 때 신체검사를 하고 주말에 시행하는 학습회 내용도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앞서 한국의 인권단체 등이 주도하는 대북 전단 살포를 경계하는 동시에 발원지를 조준사격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북한은 지난해 말부터 국가안전보위부와 인민보안부, 청년조직 등을 중심으로 정보를 강력히 통제하는 과정에서 컴퓨터와 휴대전화는 엄격한 절차를 거쳐 등록하고 중국에서 들어오는 DVD와 USB 메모리 등을 단속하고 있다.

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조명철 박사는 북한이 과거 동유럽 민주화 운동이 일었을 당시 외국의 정보 유입을 차단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점을 근거로 이번 조치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시하고 후계자인 김정은이 지휘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북한 당국의 정보 통제가 효과를 거뒀다고 분석하고 당국 규제에 산발적인 소동은 있지만, 조직적인 항의활동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