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北근로자 8년만에 5만명 돌파

개성공단 北근로자 8년만에 5만명 돌파

입력 2012-02-02 00:00
업데이트 2012-0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가 2004년 10월 공단이 가동에 들어간 뒤 처음으로 5만명을 돌파했다.

통일부는 지난달 30일 개성공단 123개 입주기업의 북측 근로자가 5만 315명으로 집계됐고, 지난해 4억 달러 생산액을 돌파하며 7년 4개월간의 누적 생산액이 1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개성공단 출퇴근 도로 보수공사
개성공단 출퇴근 도로 보수공사 지난달 30일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가 2004년 공단 가동 후 처음으로 5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북측 인력들이 개성공단으로 통하는 출퇴근 도로를 보수 공사하고 있다. 통일부는 매일 통근버스 255대가 1000회가량 이 도로를 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 제공
개성공단의 북한 근로자 수와 생산액, 가동기업 수 등은 현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북측 근로자는 이명박 정부 들어 2만 6786명이 늘어 참여정부 때보다 113%의 증가율을 보였다. 북측 근로자는 여성이 72%로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학력은 대졸 9.5%, 전문학교 8.7%, 고졸 81.8%로 평균 연령은 38.6세다.

연간 생산액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05년 1491만 달러를 기록한 뒤 2007년 1억 8478만 달러, 지난해 4억 185만 달러를 달성해 누적 생산액 15억 달러를 달성했다. 2005년 87만 달러로 시작한 연간 수출액도 꾸준히 늘어 지난해 11월 기준 누적 수출액이 1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남측 입주기업도 현 정부 들어 55개가 증가했다.

북측 근로자 1인당 임금은 월 110달러로, 이 중 사회보험 15%와 세금 30%를 제외한 금액을 북측이 지급하고 있다. 이직률이 극히 낮고 근무 환경과 처우가 상대적으로 좋아 의사, 간호사 등 전문 의료 인력도 개성공단에 지원해 근로자로 일하고 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측 입주기업의 수요를 감안하면 지금도 2만명이 더 필요한 상황이지만 인력 수급이 쉽지 않다.”며 “올해는 북측 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통행·통신·통관 등 입주 기업들이 요청하고 있는 3통(通) 문제를 적극 해결하고 개성공단 생산 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7월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1주년을 맞아 발족되는 ‘한반도역외가공지역위원회’를 통해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2-02-0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