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창춘 → 선양 시찰 ‘강행군’… 中에 10억弗 차관 요청설

장성택, 창춘 → 선양 시찰 ‘강행군’… 中에 10억弗 차관 요청설

입력 2012-08-16 00:00
업데이트 2012-08-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중 사흘째… 나선·황금평지구 투자 유치 잰걸음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 방문 사흘째인 15일 중국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잰걸음을 이어 갔다.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장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창춘(長春)에서 6세대 지도부로 거론되는 쑨정차이(孫政才) 당 서기, 왕루린(王儒林) 성장을 비롯한 지린(吉林)성 지도부를 만나 나선지구 투자를 독려한 뒤 저녁에는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으로 이동해 황금평·위화도지구 투자 유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14일 베이징에서 중국 상무부와 황금평·위화도지구 및 나선지구 공동 개발을 위한 제3차 개발합작연합지도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들 지구 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한 관리위원회 구성에 합의한 뒤 즉각 창춘으로 날아갔다.

중국 측은 이날 중국 기업들이 두 지구에 대한 투자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합의에서 ‘정부 주도’ 투자를 주장해 온 북측의 요구가 수용되지 못한 만큼 중국 기업들이 전처럼 황금평·위화도지구 투자를 계속 외면할 경우 두 지구에 대한 개발 사업이 진척을 이루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관영 영자신문인 차이나 데일리는 이날 “비록 황금평·위화도지구와 나선지구에 대한 중국의 투자가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전날 외자 유치를 위해 두 지구에 대한 공동 개발 가속화 조치들이 확보되면서 중국의 투자와 북·중 경제협력이 가까운 미래에 급속히 확대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薄)에는 양국 정부가 두 지구에 대한 개발 본격화를 위한 조치들에 합의했다는 소식과 함께 북·중 협력주(株)로 추정되는 수혜 업체 리스트까지 나돌고 있다.

그러나 장 부위원장의 이번 방중 목적이 이들 두 지구에 대한 활성화 조치 합의를 넘어 북한의 전반적인 경제개혁과 연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중국에 거액의 차관을 요청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웨이보에는 장 부위원장이 이미 중국에 10억 달러(약 1조 1290억원)의 차관을 요청했다는 소문도 떠돈다.

다만 중국은 북한에 대해 현금보다는 현물 지원이나 시설투자를 선호해 왔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 직전 1년 반 동안 네 차례에 걸쳐 집중적으로 중국을 방문해 차관을 요청했으나 실패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한 대북 소식통은 “중국이 300억 달러 투자 지원 대신 나선지구의 4, 5, 6호 부두 건설권과 50년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을 조건으로 나선의 비행장, 화력발전소, 철도 및 도로 건설 등에 30억 달러를 투자하는 수준으로 축소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장 부위원장은 이날부터 이틀간 지린·랴오닝 지역을 방문한 뒤 베이징으로 돌아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최고 지도부를 만나고 18일 고려항공 편으로 귀국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8-16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