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임박 긴박한 한반도] 北 수평갱도에 9중 차단문·3중 잔해 차단벽 설치

[北 핵실험 임박 긴박한 한반도] 北 수평갱도에 9중 차단문·3중 잔해 차단벽 설치

입력 2013-02-05 00:00
업데이트 2013-0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軍 ‘2차 핵실험’갱도 개념도 공개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만탑산에 파 놓은 수평갱도에 충격 흡수와 방사성물질 차단을 위해 9중 차단문과 3중의 잔해 차단벽이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 같은 설비로 인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방사성동위원소(방사능 핵종)로 북한의 핵실험 방식을 탐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국방부는 2010년 9월 북한 조선중앙TV가 방영한 기록영화 ‘내가 본 나라’에 등장한 2009년 5월 2차 핵실험 당시 갱도 개념도 화면을 캡처해 4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길이 1㎞ 내외, 지름 2~3m로 추정되는 수평갱도는 달팽이관 모양으로 이뤄졌으며 9개의 차단문이 설치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갱도가 전반적으로 꼬여 있는 것은 핵 폭풍과 잔해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면서 “충격을 흡수해 함몰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9개의 차단문 가운데 핵폭발이 이뤄지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1번 차단문은 3중의 고강도 강철문으로 구성됐으며 나머지 차단문은 토사나 돌덩이로 되메우기를 한 형태일 것으로 분석한다. 핵폭발 잔해를 차단하고 폭발 당시 힘이 차단문에 급격히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격벽도 세 곳이나 설치됐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 때 직선으로 갱도를 팠는데 2009년 2차 핵실험 때는 달팽이관 형태로 갱도를 팠고 이번 3차 핵실험 때도 같은 방식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갱도에 설치한 견고한 차단장치에 따라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플루토늄탄이나 고농축우라늄(HEU)탄 중 어떤 방식으로 핵실험을 진행했을지 쉽게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핵실험 시 지진파 관측 이외에도 외부로 누출되는 제논과 크립톤 등 방사능 핵종을 포집해 그 성분 분석을 통해 플루토늄이나 우라늄 사용 여부를 식별하기 때문이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3-02-05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