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먼 방북’ 北·美관계 영향

‘로드먼 방북’ 北·美관계 영향

입력 2013-03-02 00:00
업데이트 2013-03-02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긴장된 양국관계 유연성 가져올 촉매” “美, 北 핵포기 않는 한 주목 안 할 것”

미국 프로농구(NBA)의 전직 농구 선수 데니스 로드먼과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8일 평양에서 농구 관람을 같이 하고 친선을 과시함에 따라 북·미 간 관계 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일 김 제1위원장과 데니스 로드먼의 만남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원수님(김정은)은 이런 체육 교류가 활성화돼 두 나라 인민들이 서로 이해를 도모하는 데 기여하게 되리라는 기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북한의 태도는 3차 핵실험에 따른 국제적 고립과 우리 새 정부의 출범 시기에 맞춰 북·미 관계 개선의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주목된다.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 2월 26일에는 미국의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미국 관현악단으로서는 처음으로 평양에서 공연을 한 바 있다. 북한은 당시 이례적으로 300명이 넘는 파견단의 입국을 허용했고 이들은 공연 도중 미국 국가를 연주하기도 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체육 교류를 통해 현재의 국면을 바꿔 나가려는 의미가 있다”면서 “3차 핵실험 이후 북·미 관계를 풀 소재가 없는 상태에서 양국 관계에 유연성을 가져올 촉매”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미국 정부가 로드먼의 방북 사실을 모르지 않았고 이를 막지 않은 점도 있다”면서 “미국의 입장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환영하기는 어렵지만 북한에 적당히 호응하는 제스처를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주민들에게 외부와 고립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리고 국제사회의 제재를 피하기 위한 정치적 선전”이라면서 “북한이 여전히 핵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계 개선을 추구하려 한다는 점에서 미국 정부는 크게 주목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3-03-02 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