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해지는 동북아 정세] “北, 결코 핵 포기 안해… 케리 어리석은 발상 ”

[복잡해지는 동북아 정세] “北, 결코 핵 포기 안해… 케리 어리석은 발상 ”

입력 2013-10-05 00:00
업데이트 2013-10-05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벡톨 美 앤젤로주립대 교수

브루스 벡톨 미국 텍사스주 앤젤로주립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존 케리 국무장관의 ‘북한 비핵화 결심 시 불가침 조약 체결 의향’ 발언에 대해 “어리석은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미 국방정보국(DIA) 선임 분석관을 지낸 벡톨 교수는 미국 내 대표적 한반도 전문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이미지 확대
브루스 벡톨 미국 텍사스주 앤젤로주립대 교수
브루스 벡톨 미국 텍사스주 앤젤로주립대 교수


→케리 장관의 불가침 조약 발언을 이례적이라고 보나.

-학계 인사가 그런 말을 한 적은 있어도 미국 정부 인사가 공개석상에서 그런 발언을 하는 걸 들은 기억이 없다.

→케리 장관의 발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어리석은 발상이고 나쁜 아이디어이며 서툰 판단이다. 북한과의 불가침 조약은 비핵화뿐 아니라 미사일, 인권, 그리고 한국 등 주변국에 대한 도발 우려 등 모든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뒤에 협상 테이블에 올려야 하는 이슈다. 즉 북한이 불량국가에서 완전히 탈피해 정상국가가 된 뒤에야 논의할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시리아가 화학무기를 포기하겠다고 하면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겠다’는 식의 얘기를 해선 안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일각에서는 케리 장관이 최근 이란과의 관계개선 움직임에 고무돼 파격적인 발언을 했다는 관측도 나오는데.

-그런 관측에 동의한다. 하지만 북·미 간 불가침 조약이라는 것은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상충되는 복잡한 측면도 있기 때문에 언급 자체를 신중하게 해야 한다. 만약 불가침 조약 체결 후 북한이 한국에 도발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래도 이런 발언이 뭔가 대화의 돌파구 역할은 할 수 있지 않을까.

-분명한 건 북한은 결코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핵은 김일성의 유업이고 김정일의 꿈이며 김정은의 권력기반이다. 만약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이전 미 행정부의 전철을 되풀이한다면 똑같은 실패를 맛볼 것이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10-0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