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휴대전화 200만 시대… “손전화 없이 연애 못해”

北 휴대전화 200만 시대… “손전화 없이 연애 못해”

입력 2013-11-28 00:00
업데이트 2013-11-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8노스 “부의 상징이자 필수품으로 빠르게 확산”

북한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가 2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휴대전화가 북한 신흥 부유층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며 폭발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가 운영하는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26일(현지시간) 북한에서 휴대전화가 부의 상징인 동시에 필수 생존 수단이 됐다고 소개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북한이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2008년 이후 1∼2년간은 평양을 중심으로 당 간부 등 고위 당국자, 국영기업체 간부들로 이용자가 제한됐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암시장의 활성화로 ‘초기 중산층’ 내지 ‘신흥 부유층’이 부상하면서 이들이 휴대전화의 주 수요층으로 자리잡았다.

38노스는 탈북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물건 현황과 가격 등 암시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휴대전화는 신흥 부자들에게 이미 필수품이 됐다고 전했다.

탈북자가 남한에서 북한으로 송금한 돈도 휴대전화 가입자 수 증가를 부추긴 ‘재원’ 가운데 하나라고 38노스는 지적했다.

이들 신흥 부유층은 한달 가까이 걸리는 까다로운 가입절차를 줄이기 위해 브로커에게 웃돈을 주고 ‘가짜 명의’를 빌려 휴대전화를 개통하기도 한다.

이런 관행이 널리 퍼지자 북한 당국도 최근 들어 중국과의 국경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휴대전화 개통 절차를 간소화했다고 탈북자들은 전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기는 하지만 북한에서 휴대전화는 여전히 ‘명품’과 같은 선망의 대상이다. 또 젊은층을 중심으로 일부 주민은 별다른 소득이 없는데도 무리하게 휴대전화를 장만하는 등 ‘과시적 소비’를 하기도 한다.

2012년 12월 북한 청진에서 탈북한 한 남성은 청년들 사이에 휴대전화의 인기가 높다면서 휴대전화가 없는 사람은 좋은 대우를 못받고 심지어는 여자친구도 사귀기 어렵다고 증언했다.

이 탈북자는 “휴대전화 가격이 워낙 비싸니 평소 꾸준히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사람들만 살 수 있다는 게 여실히 드러난다”고 말했다.

38노스는 200만명으로 알려진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 수가 다소 부풀려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2천400만 인구 가운데 보안 이유로 휴대전화가 금지된 군인 100만명과 10세 미만 300만명을 제외하면 사실상 인구 10명당 1명꼴로 휴대전화를 가졌다는 계산인데,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천800달러에 불과한 북한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은 150∼700달러 정도다.

또 한사람이 휴대전화 여러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고위 당국자들은 도청 우려 때문에 휴대전화 사용을 기피한다면서, 실제로 2012년 2월 당시 휴대전화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었지만 활성화된 번호는 80만개 수준이었다고 38노스는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