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式 공포정치는 ‘양날의 칼’

김정은式 공포정치는 ‘양날의 칼’

입력 2013-12-07 00:00
업데이트 2013-12-0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적으로 권력 공고화… 장기적으론 北체제에 毒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고모부인 장성택을 내친 것은 두 달 전 장성택의 최측근이 중국으로 도피해 우리 정부에 망명을 요청했기 때문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6일 급속히 확산됐다. 도피한 장성택의 최측근은 노동당 행정부의 외화벌이와 자금을 총괄하던 인물로 김정일·김정은 부자의 비자금 내역까지 알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측 요원이 한때 중국 공안에 체포되는 등 한·중 정보 당국 간 일촉즉발의 사태까지 치달았고, 현재 우리 정부가 베이징 한국대사관이 아닌 제3의 장소에서 해당 인사를 보호하고 있지만 중국 측이 한국행을 불허하고 있어 차선책으로 미국이 신병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장성택 최측근 망명설’에 대해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은 “전혀 아는 바 없다”고 일단 부인했다. 외교부, 통일부 등 관계 당국도 “관련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워낙 민감한 사안이어서 원만하게 마무리될 때까지 당국이 철저하게 비밀을 유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의 통치술은 ‘부드러운 독재’에서 ‘폭력적 독재’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실제 집권 초기 따뜻하고 친근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비교적 개방적인 리더십을 보여줬던 김 제1위원장은 장성택 세력 숙청을 계기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칼을 빼들 수 있는 무소불위의 절대자임을 당·정·군에 각인시켰다. 김일성 주석의 유일한 사위인 장성택의 몰락을 통해 북한의 엘리트들에게 권력 2인자도 힘없이 일시에 무너질 수 있음을 온몸으로 체험시킨 셈이다.

정보 당국에 따르면 김 제1위원장은 지난해 17명, 올해 40여명을 공개처형하는 등 ‘공포정치’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김정은식(式) 공포정치’가 단기적으로는 김 제1위원장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전기가 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북한 체제에 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력 상층부가 ‘보여주기식’ 성과물에만 집착하면 변화의 동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고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김 제1위원장의 공포정치가 엘리트층의 불안심리와 불만을 키워 권력구도의 불안요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변화를 통해 경제를 회복시키지 못하면 권력 유지를 위한 핵심 이권 사업들도 줄줄이 타격을 입게 되면서 엘리트 결속이 어렵게 된다”면서 “대중적 인기를 얻기도 갈수록 힘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12-07 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