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장성택 처형 ‘신속 처리’…왜

北 김정은, 장성택 처형 ‘신속 처리’…왜

입력 2013-12-13 00:00
업데이트 2013-12-13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성택 관련 내부 혼란 조기 차단 의도”

김정일 후계체제부터 40여 년간 북한 권력의 정점에 있던 장성택이 결국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지난 8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장성택을 ‘반당반혁명 종파분자’로 낙인찍고 불과 나흘 만인 12일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정변을 꾀한 역적’이라며 즉각 사형함으로써 장성택 숙청을 일사천리로 단행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2일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에 대한 사형을 판결하고 즉시 집행했다고 전한 13일 오전 서울 봉래동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장성택 처형 관련 방송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2일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에 대한 사형을 판결하고 즉시 집행했다고 전한 13일 오전 서울 봉래동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장성택 처형 관련 방송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속전속결로 이뤄진 장성택 처형의 배경에는 장성택이 김정은 정권을 붕괴시키려 했다는 북한 지도부의 판단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장성택 사형 소식을 발표, 장성택이 세력을 규합해 정변을 일으키려 했다면서 그의 자백내용까지 공개했다.

’장성택의 정변’ 죄목은 북한 당국이 그를 제거하기 위해 얼마든지 조작해낼 수 있지만, 김정은 정권이 이런 인식을 했다는 것 자체가 그를 살려둘 수 없다는 결정을 내리게 한 주된 요인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김정은 정권 출범의 일등공신이자 김정은의 고모부 장성택을 사형에 처하는 극단적 결정을 한데 대한 명분과 당위성인 셈이기도 하다.

북한이 장성택을 신속 처형한 것은 혼란스러운 권력 내부와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다잡고 빠르게 ‘장성택의 물’을 빼겠다는 의도도 읽힌다.

무엇보다 김정은 1인 지배 체제를 엎으려 한 장성택을 빠르게 처형함으로써 김정은 체제에 도전한 자의 말로가 어떻게 되는지를 만천하에 보여줌으로써 간부와 주민들에게 극도의 공포심을 심어주려는 속내로 보인다.

장성택에 대한 동정이나 장성택 처형에 대해 반발할 경우 절대로 용서치 않을 뿐만 아니라 결과는 장성택처럼 죽음만이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앞서 북한은 장성택이 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인민보안원들에게 끌려나가는 모습을 조선중앙TV를 통해 파격 방영한 이후 노동신문 등 매체에 간부와 주민들을 내세워 장성택을 ‘쥐새끼’, ‘전기로에 처넣어버리고 싶다’ 등 ‘장성택 타도’ 여론몰이에 연일 나섰다.

북한 내부는 장성택에 대한 분노로 끓는 듯한 분위기였고 그 분위기에 힘입어 장성택을 즉각 처형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공포를 극대화한 셈이다.

민심을 수용하고 공식 법적 절차를 통해 장성택을 처형했다는 명분도 쌓으려는 생각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성택은 김정일 체제에서 두 차례의 좌천으로 정치적 부침을 겪기는 했지만 김정일 위원장이 생전에 가장 믿고 의지한 친인척이자 오른팔이라는 점에서 그의 주변에는 항상 사람들이 모였다.

특히 그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와병 이후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 과정과 김정은 정권 공식 출범까지 전 과정에서 사실상 북한을 실질적으로 통치한 1인자나 다름없는 권력을 행사했다.

조선중앙통신도 장성택이 심복들을 노동당과 내각 등 주요 기관에 앉히는 방법으로 “체계적으로 자기 주위에 규합하고 (장성택이) 그 위에 신성불가침의 존재로 군림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북한 곳곳에 퍼져 있는 장성택의 방대한 인맥과 영향력을 하루아침에 없애버리기는 불가능한 만큼 장성택의 목숨을 살려두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정치범수용소에 보내 생존시키면 추종세력의 도움을 받아 탈출할 가능성도 있고 나아가 김정은 정권을 뒤엎기 위한 장성택의 반격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을 수 있다.

더욱이 부인인 김경희 당 비서도 건재한 상황에서 장성택 세력을 뿌리까지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신속한 처형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장성택 재판 및 사형과 관련, “공정한 절차를 거쳤다는 모양새를 연출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면서 “권력 찬탈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하고 있고 장성택 세력들에 대한 반발 여지를 미리 제거하고 공포감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을 뒀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서 위원장은 또 “오늘 새벽에 국정원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았다”면서 장성택을 신속히 처형한 것은 “김정은의 권력 기반이 김정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반영하고 장성택을 둘러싼 내부논란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