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학자들 “백두산에 화산 폭발 원인 마그마 존재”

北과학자들 “백두산에 화산 폭발 원인 마그마 존재”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04-16 03:00
업데이트 2016-04-16 0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논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데뷔

7명 제1저자… 美학자 등과 공동연구

북한 과학자 7명이 처음으로 서양 과학자와 함께 백두산 지하에 마그마를 품고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북한과 영국 런던대, 미국 지질조사국, 중국 환경교육미디어프로젝트 연구소 국제공동연구진은 2013년 8월부터 1년간 백두산 인근에서 탐지된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과거 화산 폭발의 원인이 됐던 마그마가 천지 아래쪽에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고 자연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드’ 15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 참여한 11명의 과학자 중 7명은 북한 국가지진국과 평양국제새기술경제정보센터 소속이라 눈길을 끈다. 리경송, 고철남, 김혁, 윤용군, 박길종, 리종송, 류금란 박사 등 북한 과학자들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했다. 북한이 서양 과학자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서방 과학저널에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백두산 천지를 기준으로 북한 쪽 영토에 6기의 광대역 정밀지진계를 설치해 지진파를 포착, 지각의 두께와 지질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백두산 천지 바로 아래 5~10㎞ 깊이에 부분 용융 암석, 즉 마그마가 있으며 매우 복잡한 지질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했다.

백두산은 946년에 한 차례 대규모 폭발이 있었던 이후 지금까지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 휴화산 상태다. 그렇지만 2002~2005년 백두산 인근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해 화산 폭발의 징후가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국내 지질학계는 이번 논문의 내용만으로 백두산 화산 폭발을 예측하기는 어렵다며 “이번 논문은 중국 학자들의 기존 연구를 재확인하는 정도지만 상당히 수준이 높은 편이고 북한의 지질구조와 북한 학자들이 국제학계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는 것이 가장 큰 의미”라고 평가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4-16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