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공사는 ‘세포비서’…탈북자 감시, 외교관 사상교육 맡아

태영호 공사는 ‘세포비서’…탈북자 감시, 외교관 사상교육 맡아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8-18 11:27
업데이트 2016-08-18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탈북 귀순 태영호 공사는 빨치산 가문
탈북 귀순 태영호 공사는 빨치산 가문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귀순한 태영호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는 항일 빨치산 1세대이자 김일성의 전령병으로 활동한 태병렬 인민군 대장의 아들인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사진은 태영호 공사가 2004년 4월 5일 평양에서 인터뷰하고 있는 모습. 2016-08-18 사진=AP 연합뉴스
가족과 함께 귀순한 태영호(55)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는 대사관 내 당 책임자인 ‘세포비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호 공사가 외교관과 그 가족들의 사상교육 업무까지 관장해 왔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8일 보도했다.

RFA는 또 영국에 본부를 두고 활동하는 ‘국제 탈북민 연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태 공사는 대사관 내 당 조직 책임자로, 현지 탈북자들의 동태와 관련 기사, 주요 인물들을 감시하고 본국에 보고서를 작성해 보내던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태영호가 “최근 영국 탈북자 단체의 인권활동이 활발해지자 방해공작을 주도하고 현지 탈북자들을 포섭하고 활용하는데 과도한 지시도 받아 심한 심리적 압박감을 느꼈다”고 전했다.

현지 탈북자들은 태 공사가 다른 외교관들과 달리 조용하고, 지적인 인품을 소유한 전형적인 당 일꾼 타입이라고 말했다고 RFA는 덧붙였다.

RFA는 또 태영호와 함께 한국으로 귀순한 아내 오혜선(50)은 항일 빨치산 출신 오백룡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친척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오백룡 전 부위원장은 노동당 정치국, 중앙군사위원회, 김일성 주석의 경호부대인 호위사령관 직책을 지냈던 인물이다.

한편,RFA는 태 공사를 비롯해 최근 여러 명의 북한 외교관들이 망명을 결심하기까지는 자녀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북한 외교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RFA에 “서방국가에 주재하는 북한 외교관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자녀 교양(교육)과 장래문제”라며 “서방의 교육과 문화에 노출된 자녀들을 통제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 외교관들의 해외 체류 기간은 보통 3년, 길어서 5년 정도 되는데, 이 기간 외국에 적응한 자녀들은 부모들에게 탈북을 권유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번에 한국으로 망명한 태 공사의 큰아들은 영국의 한 대학에서 공중보건경제학 학위를 받았고, 둘째 아들도 현지 대학 입학을 앞두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