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79, 5656, 5452… 자유조선 ‘의문의 숫자’ 게시 왜

8279, 5656, 5452… 자유조선 ‘의문의 숫자’ 게시 왜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9-04-08 22:42
업데이트 2019-04-09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직원에 내리는 새로운 지시 추정…“北 대사관 습격 수사 교란” 분석도

자유조선 홈페이지 캡쳐
자유조선 홈페이지 캡쳐
자유조선이 지난 7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8279’라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숫자를 게시했다. 과거 북한 평양방송이 진행했던 ‘난수 방송’과 유사한 것으로 조직원에게 내리는 지시라는 추정이 나오는 가운데 단순 교란용이라는 해석도 있다. 자유조선이 의문의 숫자를 처음 게시한 건 2017년 10월 4일로 ‘5656 5452’를 표출했다. 지난해 3월 27일에는 ‘1557707007’을, 4월 3일에는 ‘3972745482’을 게재했다. 올해는 1월 3일 ‘모든 것이 변화되는 올해’라는 글과 함께 ‘827383 091928 725112 927739 823390 921425’를 표출했고 지난 7일 ‘8279’라는 숫자를 보여 줬다.

이런 의문의 숫자가 관심을 끈 건 지난 2월 22일 자유조선 소속 10명이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관을 습격해 정보를 탈취하는 대담한 사건을 벌였기 때문이다. 이후 이들은 지난달 31일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지금 큰일을 준비하고 있다. 그때까지 우리는 폭풍전야의 침묵을 지킬 것”이라며 “우리가 만들어 내는 새로운 기적의 사실을 지지하고 인내해서 기다려 달라”고 했다.

따라서 이번 숫자 표출은 조직원을 향한 새로운 지시일 수 있다는 추정이 나온다. 한 소식통은 8일 “해당 숫자는 평양방송의 난수 방송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난수 방송은 북한 당국이 남한을 포함한 해외 정보원들에게 내리는 지령으로 여겨진다.

특히 스페인 북한대사관 습격 사건 때 보여 준 치밀한 침입·탈출 전략이나 습격 과정 도중에 출동한 스페인 경찰을 태연하게 돌려보내는 모습 등을 볼 때 일당 중에 북한 군 당국이나 정보 당국 출신이 포함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면 최근 습격 사건에 대해 스페인 정부의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교란을 위해 의문의 숫자를 게시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9-04-09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