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6개월<상>] 정홍원 ‘실무 총리’ 위상… 현오석 ‘경제 컨트롤타워’ 자리매김

[박근혜정부 출범 6개월<상>] 정홍원 ‘실무 총리’ 위상… 현오석 ‘경제 컨트롤타워’ 자리매김

입력 2013-08-23 00:00
업데이트 2013-08-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워엘리트 분석 - 정부부처 빅5

정부부처 내의 ‘빅5’로는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해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정홍원 국무총리는 실무형 총리로서의 색깔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신중하고 조심스럽지만 부드럽고 온화한 태도 속에 확고한 원칙과 강한 결단력이 돋보이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이다. 최근 들어선 “국정 현안을 제때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부처와 부처 수장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메시지를 내각에 보내고, “내각을 통할하는 입장에서 각 부처를 적극 지휘·독려하겠다”며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

정치권과 큰 인연은 없지만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장 등을 지내며 당시 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 와 알려진 것보다 깊은 교감을 나누는 관계인 점도 도움이 되는 듯 보인다. 특히 이달 초 청와대 비서진 교체 뒤에는 “공직 사회 변화와 개혁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앞장서겠다”며 강한 리더십으로 내각을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대통령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을 찾아 그늘진 곳을 없애 나가겠다며 현장 중심의 소통을 위한 행보도 부지런하게 진행 중이다. 취임 6개월 동안 조용하고 신중한 모드로 내각을 이끌어 왔던 정 총리는 앞으로 자신의 철학과 스타일이 반영된 정책 행보를 보일 전망이다.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은 ‘존재감이 없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대통령이 나서 힘을 실어주면서 회의론은 급속히 사라졌다. 부처 간 취득세 갈등 등 경제분야 주요 사안을 적극적으로 조율하고, 대외적으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세계 경제현안에 우리나라의 목소리를 관철시키면서 안정감을 찾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현 정부 외교안보 정책의 중추다. 박 대통령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멤버로, 현 정부의 외교안보 핵심 기조인 신뢰 외교의 밑그림을 그렸다. 박 대통령에게 오랫동안 조언을 해 입각 후에도 수시로 대면 보고하는 정부 내 몇 안 되는 각료로 알려졌다.

서강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때부터 외교 현안의 문제점 및 대응책을 정리한 수백 쪽 분량의 ‘윤병세 파일’을 만들 정도로 꼼꼼하고 현안 장악력이 높다. 각 지역 거점별 주요국 외교장관과도 수시로 통화하는 ‘전화 외교’는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됐다. 윤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거의 매일 새벽까지 심야 마라톤 회의를 주재해 ‘올빼미’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실세 중의 실세’ 장관으로 통한다. 친박근혜계 실세 장관으로 부처 내 기대가 많았고,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일하는 성실성으로 대통령에게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다.

박 대통령과의 인연도 깊다. 2005년 당시 한나라당 대표비서실장을 지내면서 박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황영철 의원은 “9월까지 대체휴일제에 대한 정부 입장을 정하도록 요구했는데, 정부 내 부처 간 이견 조율이 쉽지 않은 데도 잘 협의해 정부안을 단박에 만들어온 것이 인상적이었다”고 전했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현 정부에서 가장 박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장관으로 꼽힌다. 박 대통령의 한나라당 대표 시절 두 번째 대표비서실장을 맡았고, 지난 대선에서는 국민행복추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민생 공약을 총괄했고, 대선후보 TV토론 총괄팀장, 대통령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기획재정부가 무상보육 공약을 반대했지만, 진 장관이 복지부 장관을 맡으면서 기재부의 반대 목소리는 찾아보기 힘들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 정책위의장 출신으로 행복추진위 부위원장을 맡아 대선 공약을 담당했던 정책적 배경이 있어 힘이 실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부처 종합·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3-08-23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