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G20 정상회의 2010] “정책 개발 경쟁하는 ‘경제 월드컵’ 개최국 된 것”

[서울 G20 정상회의 2010] “정책 개발 경쟁하는 ‘경제 월드컵’ 개최국 된 것”

입력 2010-07-15 00:00
업데이트 2010-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창용 기획조정단장

히말라야와 같은 높은 산을 오르는 등반가 옆에 길 안내자가 있듯이 G20정상회의를 치르는 각국 정상들에게도 안내자가 있다. 산 위의 조력자와 역할도 비슷하다 해서 셰르파(Sherpa)라고 부른다. 서울 G20의 셰르파를 맡은 이창용(50) G20기획조정단장을 만나 정상회의 준비상황을 들어봤다.

이미지 확대
이창용 G20 기획조정단장은 14일 “11월에 열리는 G20 정상회담은 일종의 지적 올림픽이며, 우리나라가 국제외교 무대의 허브가 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 단장이 서울 삼청동 G20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사무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이창용 G20 기획조정단장은 14일 “11월에 열리는 G20 정상회담은 일종의 지적 올림픽이며, 우리나라가 국제외교 무대의 허브가 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 단장이 서울 삼청동 G20정상회의 준비위원회 사무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G20 정상회의 한국 개최는 100년 외교사에 새로운 장을 여는 의미라고 말하지만 일반 국민에겐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고 있는데.

-쉽게 말해 지금 우리는 ‘지적 올림픽 또는 월드컵’을 하고 있다고 본다. 다만 국가대표선수는 공무원과 지식인 사회다. 경제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새로운 이슈를 개발하고, 누가 정책개발을 잘하느냐를 경쟁하는 시합이다. 지적인 창조를 못 한다면 실패나 마찬가지다. 한국이 지적인 능력에서도 선진국 수준에 와있다는 걸 보여 줘야 한다. 우린 경제수준은 세계 10위권이지만 외교·정치·지식인 사회는 경제 수준과 비교하면 뒤처져 있다. 하지만, 이제 명실공히 세계 리더국가에 들어갔다고 보면 된다. 외교의 변방이던 나라가 세계 무대의 정중앙에 자리매김한 것이다. 게다가 의장국에는 모든 정보가 모인다. 국제기구는 물론 선진국까지 정보를 제공하며 자신들의 의견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한다. 의장국이란 자리를 통해 ‘정보와 국제 외교 무대의 허브’가 되는 엄청난 위치에 설 수 있게 됐다.

→G20 의장국의 역할은 어떤 것인가.

-의장국은 어떤 안건을 내놓을지를 결정하고, 또 의제를 주도하는 역할도 한다. 특정 사안을 되게 할 수 있다는 장담은 못하지만, 뭔가를 안 되게는 할 수 있다(웃음). 국회에서 의장을 누가 맡느냐가 중요한 것만큼 의장국 역할은 막강하다. 의장국에 쌓이는 경험과 자료는 실로 엄청나다. 의장을 하면서 생긴 경험과 인맥 등은 결국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뚫어가면 되는지를 일러준다. 30년 노하우를 1년 안에 따라잡는 셈이다. 의장역할을 하며 여러 나라에 호감을 주게 되면 그 또한 자산이다. 이렇게 쌓인 자산이 모이면 의장자리를 넘겨 줘도 인사이더(insider)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은 의장 임무를 잘할 때 생기는 것이다. 특히 G8 국가가 아닌 나라로는 처음 의장국을 하는 것인데 역할을 제대로 못 하면 오히려 망신을 당할 수도 있다.

→서울회의 주요 과제는 어떤 것인가.

-3가지다. 우선 워싱턴 정상회담부터 토론토까지 이어진 기존과제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만 하면 최소한의 일만 하는 것이다. 글로벌 외환 유출입에 대해 전세계에 안정적인 체제를 갖도록 하는 금융안전망과 개도국의 개발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더불어 정부 중심으로 굴러가는 G20에 민간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이 참가하는 비즈니스 서밋 등도 잘 일궈내야 한다.

→G20 준비를 하며 느낀 점이 있다면.

-준비 과정에서 우린 정말 국제화가 덜됐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정부 안에는 일 잘하는 유능한 공무원이 많이 있다. 하지만 국제 무대에서는 자신의 업무를 영어로도 잘 이야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영어는 국내에서 영어 잘한다 하는 수준으로는 어림없다. 철저히 한국인으로 사고하면서 영어권 사람처럼 말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서류업무는 잘하는 직원들이 많지만 영어가 잘 안된다. 그렇다고 밖에서 영어를 잘하는 사람을 찾으면 우선 업무를 모르고 기존 업무에 대한 이해력도 부족하다. 국제 사회에 직접 나가서 협상을 하다 보면 가장 안타까운 일이다. 언어도 언어지만 해외에 나가 보면 외교적, 역사적 지식들이 가득찬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지식인을 만드는 교육을 하고 있지 않다고 본다. 달달 외우게만 하는 교육 속에서 다양성 있는 지식인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교육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7-15 3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