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들 “군생활 중 가장 힘든 것은 ‘삽질’”

장병들 “군생활 중 가장 힘든 것은 ‘삽질’”

입력 2010-01-21 00:00
업데이트 2010-01-21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 생활에서 가장 힘든 것은 고된 훈련, 낙후된 시설이 아닌 ‘삽질’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사무처 소속의 안보경영연구원이 국방부의 의뢰로 작성한 ‘군 생활 분석’에 따르면 장병들이 군 생활 중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공사나 작업동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난 해 9월 현역병(7261명), 간부(2888명), 예비군(2785명), 입대자원(신체검사 대상과 고등학생 3204명) 등 1만 613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

 ’병영생활 중 가장 어려운 것’을 묻는 질문에 현역병(18.6%), 예비군(13.7%) 모두 ‘잦은 공사나 작업’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현역병은 ‘수면부족’(16.7%), ‘휴가와 휴무 미보장’(15.6%), ‘강도 높은 훈련’(9.0%) 등을 꼽았고, 예비군은 ‘수면부족’(13.6%), ‘샤워·목욕·위생시설 불비’(10.4%), ‘병영 부조리와 악습’(10.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이미지 확대
자료 : 안보경영연구원
자료 : 안보경영연구원


이미지 확대
자료 : 안보경영연구원
자료 : 안보경영연구원


 

현역병의 한달 용돈은 평균 10만원 이하가 64·3%로 가장 많았다. 월 30만원 이상을 쓴다는 현역병은 1.8%밖에 되지 않았다. 병사들의 급여가 월 8만 8000원(상병 기준)임을 감안할 때 대부분 월급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에서 돈을 쓰고 있었다. 하지만 현역병의 41.9%는 부모 등으로부터 송금을 받고 있으며, 평균 송금액은 월 5만8000원으로 조사됐다.

 현역병들은 부대시설 중 가장 먼저 개선되거나 설치돼야 할 것으로 컴퓨터실(13.5%), 실내체력단련장(13.2%), 생활관 내부(12.1%) 목욕탕·샤워시설(10.6%) 순으로 답했다.

 군 선호도에서는 육군이 45.5%로 가장 높았고, 공군(35.8%), 해군 (10,7%), 해병대(7.9%) 순이었다. 육군을 선호하는 이유는 ‘짧은 복무기간’(46.6%)이, 공군을 선호하는 이유는 ‘부대의 시설’(31.4%)이 가장 많았다. 해병대를 꼽은 장병들은 ‘강도높은 훈련’(43.3%)을 가장 많이 답해 눈길을 끌었다.

 또 입대자원의 27.6%는 직업군인이 되길 희망했다. 하지만 현역병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을 한 결과 이등병(12.5%), 일병(9.4%), 상병(7.7%), 병장(5.6%) 순으로 계급이 높을수록 부정적이었다. 연구원은 군 입대 후 직업군인의 처우와 복지 수준을 알고 실망감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직업군인들에게 자신의 처우와 복지수준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41.4%가 ‘보통’이라고 답했지만 ‘대체로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26.6%에 달했다. 또 장교보다는 부사관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스러운 사항으로 4명 중 1명 꼴로 ‘숙소지원 열악’(25.7%)과 ‘각종 급여·수당 미흡’(24.6%)을 꼽았다.

 연구원은 “장병의 경우 전투준비태세에 전념하도록 공사와 작업을 줄이고 휴가 등을 보장하면서 적절히 수면을 취하게 할 필요가 있다.”면서 “직업군인들도 처우와 복지에 대해 불만족하는 경우가 많아 숙소와 급여·수당에 대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터넷서울신문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