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문인들 “보조금 안 받겠다”

뿔난 문인들 “보조금 안 받겠다”

입력 2010-02-21 00:00
업데이트 2010-02-21 1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1~2년쯤 잡지 안 내고 외국작가 초청 안하면 안돼요?

 이번 일은 상징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입니다.현 정부의 문화정책이 얼마나 황당한가를 보여주는 건데 작가회의가 이걸 받아? 좀 크게 봐야합니다.”한국작가회의의 정기총회가 열린 2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중부여성발전센터 강당.최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불법시위 불참 확인서 제출 요구와 관련한 최일남 전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의 발언에 여기저기서 “옳소”라는 외침과 박수소리가 이어졌다.

 지난 2년간 작가회의를 이끌면서도 좀처럼 큰소리를 내지 않던 최씨의 격앙된 목소리와 이에 대한 회원들의 호응은 이번 사태에 대한 작가들의 입장을 명료하게 보여주었다.

 이날 총회에서는 지난달 문화예술위원회가 작가회의에 3천400만 원의 보조금 지급 조건으로 향후 불법폭력시위 사실이 확인될 경우 보조금 반환을 비롯한 일체의 책임을 지겠다는 확인서를 요구한 일이 특별안건으로 올라 집중 논의됐다.

 논의에 앞서 도종환 전 사무총장은 경과를 보고하며 지난 17일 예술위 윤정국 사무처장이 방문해 구두로 사과의 뜻을 전한 것과 이번 사태 관련 보도를 접한 원로 문인이 작가회의에 3천400만 원을 익명으로 전달한 사실을 회원들에게 전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원로 회원과 젊은 회원을 막론하고 강경한 입장이 주를 이뤘다.

 한 회원은 “작가회의만의 문제로 봐서는 안된다.보조금 없이 한두 해 어렵게 가더라도 강력 대응해 비슷한 처지에 놓인 다른 단체들의 문제도 함께 해결되는 길을 터줘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종영 신임 부이사장은 “원로가 전달하신 돈이 매우 상징적인 것”이라며 “보조금 없이도 갈 수 있다.작가들이 어떤 입장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작가회의는 보조금을 받지 않는 한편 정부 지침 철회를 위한 문학적 저항을 이어가기로 했다.

 현 정부의 문화행정 등에 대한 저항의 뜻을 글로 담아 여러 매체에 기고하는 ‘저항의 글쓰기’ 운동에도 이날 총회 참석회원의 대부분인 158명의 회원이 서명해 지지를 보여줬다.

 작가회의는 예술위가 확인서 제출 요구의 근거로 삼은 정부 지침의 철회를 이끌어내는 데까지 투쟁을 확대시켜나간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