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에게 행복 조건 물었더니 ‘돈 > 가족’

고3에게 행복 조건 물었더니 ‘돈 > 가족’

입력 2010-05-04 00:00
업데이트 2010-05-04 09: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다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방정환재단은 최근 공동으로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5천437명에게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국제비교’를 주제로 설문 조사를 벌여 유니세프의 2006년 연구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은 ‘삶에 만족하는가’란 질문에 53.9%가 ‘그렇다’라고 답해 OECD 26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파악됐다.학생 2명 가운데 1명꼴은 삶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대답한 셈이다.

 이는 만족도가 가장 높은 네덜란드(94.2%)보다 40.3% 포인트 낮고 OECD 평균(84.8%)에서 30.9% 포인트 모자란 수치다.지난해 조사한 한국 어린이·청소년의 ‘삶 만족도’(55.5%)와 비교해서도 1.6% 포인트 더 낮아졌다.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답한 학생은 각각 26.5%과 18.3%를 기록,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외로움을 느낀다’는 대답은 16.7%로 일본(29.8%)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반면 ‘학교생활에 만족하는가’란 항목에서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27.0%로 노르웨이(38.9%)와 오스트리아(36.1%),네덜란드(34.4%) 등과 큰 차이 없이 7위에 해당했다.‘행동과 안전’,‘교육’,‘가족과 친구 관계’ 등의 영역에서도 한국은 중상위를 차지했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삶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 ‘학교생활만족’ 등 6가지 부문을 합산해 점수로 표준화한 ‘주관적 행복’ 지수는 65.1점(OECD 평균 점수를 100으로 봤을 때)으로 비교 대상 국가 중에서 최하위에 머물렀다.

 행복을 위해 인생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가족’이라고 답한 비율은 고등학교 입학 전에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고1과 고2 전후에는 ‘가족’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돈’이라 답한 학생 비율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조금 앞섰으며 고 3때는 ‘돈’이라 응답한 학생 비율이 28%로 가족(22%)이라 답한 비율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업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가장 심했으며 이어 외모,부모 관련 스트레스 등의 순이었다.

 일반적으로 여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이 남학생보다 10% 이상 높았고,남학생은 중 3을 기점으로 키로 말미암은 스트레스가,여학생은 중 2를 기점으로 몸무게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심했다.

 조사를 담당한 염유식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 청소년들이 주관적 행복에서 극단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며 ”입시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게 급선무이고 부모는 자녀의 친구와 학교·학원 선생님을 잘 알고 지내면 행복 지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