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온’ 전국 과실 면적의 34% 피해

‘이상기온’ 전국 과실 면적의 34% 피해

입력 2010-05-04 00:00
업데이트 2010-05-04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봄에 폭설이 내리고 일조량이 줄어드는 등 이상저온 현상의 여파로 생긴 전국 과수농가의 피해 규모가 농민단체에 의해 자세히 드러났다.

 5일 농민연합이 공개한 지역별 농작물 피해 현황에 따르면 전국 과실재배 면적의 34%가 큰 피해를 봤다.

 경기도는 여주 17.7㏊,이천 9.14㏊의 면적에서 과실농사를 망쳤다.

 강원도는 복숭아 주산지에서 동해(凍害)가 발생해 원주와 춘천 등 10개 시군 391㏊ 750농가가 피해를 봤다.

 피해는 남쪽 지방으로 갈수록 더 컸다.

 충남은 일조량 부족으로 5천720농가의 4천522㏊의 농지에서 각종 봄철 농작물이 치명적인 피해를 봤다.

 토마토와 수박을 주로 재배하는 부여군은 2천490㏊에서 손실이 발생해 충남에서 피해면적이 가장 넓었고 딸기가 많이 생산되는 논산 역시 1천450㏊ 면적에서 과실재배 피해가 발생했다.

 전북에서는 수박,복분자,감자,오이,상추 재배가 흉작이었고 전남에서는 저온 현상 때문에 국화 생산량이 예년보다 50% 가량 감소했다.

 경북 역시 일조량 부족으로 전체 과실 재배 면적의 56%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참외 주산지인 성주는 전체 면적의 68%에 해당하는 5천154㏊에서 피해가 생겼고 상주 배농가는 배꽃의 80%가 얼어버려 폐농의 위기에 처했다.

 경남은 피해면적이 6천238㏊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큰 손해를 입었다,김해시는 1천400㏊가 피해를 보았고 진주시 피해면적은 1천380㏊에 달했다.

 특히 일조시간이 부족하고 환기가 잘되지 않으면서 딸기 농사 피해가 가장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농민연합 관계자는 “이상기후로 말미암은 농작물 피해가 밭작물 전반에 걸쳐 발생했다”며 “정부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피해농가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