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잘 고쳤나…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잘 고쳤나…

입력 2010-05-31 00:00
업데이트 2010-05-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 여중생 살인사건 이후 성폭력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한 부산 경찰이 지난 2개월간 성폭력사범 282명을 검거하는 등 성폭력범 검거율이 지난해보다 크게 높아졌다.

이는 그동안 성폭력범죄 단속을 게을리 한 경찰이 특별단속에 나선 일시적 효과로 지속적인 성범죄 예방활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0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3월18일 성폭력 범죄와의 전쟁 선포 이후 2개월간 부산지역 성폭력 수배자 10명을 전원 검거하는 등 총 282명의 성폭력 사범을 검거했다. 이 검거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0명(39.6%)이 늘어난 것이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전국 성폭력 수배자 검거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부산은 지난 2개월간의 노력으로 100% 검거하는 개가를 올렸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검거율이 한편으로는 그동안 경찰이 강력범 수사에 치우치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성폭력범 검거에 소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2003년 11월9일 오전 사상구 B(40·여)씨의 집에 침입해 성폭행하고 175만원을 빼앗아 달아난 김모(36)씨의 경우 무려 6년 6개월 만에 붙잡혔다. 김씨는 경찰의 대대적인 검거작전이 시작되자 지난달 28일 자수했다. 또 지난 20일 마지막으로 붙잡힌 신모(39)씨도 범행 5개월 만에 검거됐다. 신씨는 지난해 12월19일 새벽에 부산 해운대구 중동 한 오피스텔에 침입, 이모(20·여)씨를 성폭행한 혐의로 수배를 받아왔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성폭력범죄와의 전쟁 선포 이후에야 9개팀 57명으로 수사전담반을 편성, 신씨 검거에 나서 2개월간의 수사 끝에 지난 20일 검거했다. 만약에 수사전담반 편성이 되지 않았다면 신씨 검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렸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 모여고 학부모 운영위원인 이모(54)씨는 “6년넘게 성폭행범이 도심을 활보하고 다녔다는 것은 그동안 성폭력 범죄에 대해 수사를 소홀히 했음을 보여주는 단적이 사례”라고 꼬집었다.

한편 부산경찰은 성폭력범죄와의 전쟁선포 이후 2개월간 치안취약 지역으로 지목된 재개발 예정지의 빈집과 폐가 2만 5200여 곳에 대한 일제수색을 벌여 3650여 곳에 대해 출입구를 폐쇄했다. 또 주변에 임시 방범초소 32곳, CCTV 39개, 보안등 4530개를 설치하는 등 우범지역에 대한 방범을 강화했다.

이처럼 부산경찰이 성폭력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재개발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재개발 예정지의 한 주민은 “경찰이 일제수색을 벌이는 등 범죄예방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라며 “골목길 CCTV 설치와 빈집 철거, 이주지원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 경찰청 폭력계 류삼영계장은 “부산 경찰이 지역별로 돌아가면서 월 한차례 정도 폐·공가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이고 있다.”며 “성범죄 및 실종 사건 등도 살인 등 강력사건과 같은 비중으로 취급해 신고 즉시 수사에 착수하는 등 범죄예방 및 수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10-05-31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