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구급대원 출동갔다 욕설만…주취자 골머리

119 구급대원 출동갔다 욕설만…주취자 골머리

입력 2010-11-09 00:00
업데이트 2010-11-09 0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응급환자 신고를 받고 갔더니 술김에 욕을 하면서 때리시더라고요. 이럴 때 난감합니다”

10년차인 구급대원 A(30.여)씨는 “하루 4-5차례 주취자들을 병원으로 이송하면서 욕을 듣는 건 다반사”라며 “여자대원들은 일부러 목소리 톤을 낮추고 강하게 대응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또 “술에 취한 사람뿐 아니라 주변에 함께 있던 친구들까지도 구급대원들을 때리는 경우가 있다”며 “석달 전에는 여자친구가 아프다며 신고한 남자친구가 갑자기 왜 자기 여자친구를 건드리냐면서 대들어서 아주 혼났다”고 토로했다.

119 구급대원이 구조활동을 하다가 주취자들에게 폭행을 당하는 사례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충북소방본부에 따르면 도내에서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사건은 매해 1건씩 늘어나 2010년에는 총 4건이 접수됐으나 이는 폭행 수위가 높아 고발조치된 사건만 기록된 것으로 가벼운 폭력행위는 거의 매일 2-3차례씩 발생한다고 소방 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부산에서는 지난 1월 구급대원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행위에 대해 공무집행방해죄로 고발조치하겠다는 방침을 정하는 등 강력대응에 나섰으며 대전.강릉.울산 등지에서도 폭력예방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대책마련에 고심중이다.

한편 ‘부르면 가야한다’는 업무의 특성상 응급환자가 아닌 경우에도 출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유형의 신고자 대부분이 주취자들이다.

B구급대원은 “하루 20여건의 응급환자 신고접수 중 절반정도가 주취자인데, 90% 이상이 가벼운 복통.두통 등을 호소하는 환자”라며 “병원에 이송은 해드리지만 응급실에서도 술이 깰 때까지 기다리는 것 외에는 마땅히 치료할 방법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종종 주취자들이 응급실에 있는 다른 환자들에게 고함을 지르거나 의료기구들을 훼손시키는 등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A구급대원은 “하루에도 2-3번씩 전화하는 ‘단골주취자’들이 있다”며 “병원으로 이송해 치료를 받고 나왔는데 병원 뒷마당에서 또 다시 자신을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며 119에 신고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난감함을 표했다.

소방서 관계자는 “주취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구급대원들을 부를 경우 실제 응급환자들을 위한 출동이 늦어질 수 있다”며 “나부터 치료받아야 한다는 주취자들의 의식이 바뀌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