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오염’ 빗물로 해결하자”…이색제안

“‘구제역 오염’ 빗물로 해결하자”…이색제안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 사태’로 매몰지 및 지하수 오염 등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빗물을 활용하면 지하수 오염 방지 등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빗물의 식수원 활용과 빗물 관련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지난 2002년 설립된 (사)‘빗물모아 지구사랑’ 공동대표인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와 이계안 전 국회의원은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구제역 여파로 살처분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무차별 매몰에 따른 침출수로 지하수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면서 “지하수 오염은 강과 하천을 오염시켜 제2,제3의 상수원 오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한 교수와 이 전의원은 이에 따라 빗물을 활용하면 △빗물의 상수원화 △빗물의 농업용수.산불방지용수화 △빗물을 통한 지하수 정화.보충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축사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모으면 주민들의 식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면서 “땅에 떨어지기 전의 빗물은 아주 간단한 처리를 거치면 훌륭한 식수가 될 수 있으며,이 물은 상수와 지하수보다 한국인의 입맛에 더 좋다”고 말했다.

 이들은 특히 정부가 침출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빗물이 땅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덮거나 우회수로를 만들어 빗물을 하류로 보내는 방식이 잘못됐다고 정면 비판했다.이로 인해 하류에 홍수가 발생하거나 지하수 침투량 부족으로 인한 건천화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

 이에 따라 “빗물이 땅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덮은 뒤에 한 곳에 모으거나 우회수로의 끝에 저류시설을 만든 뒤 약간의 처리만 하면 훌륭한 상수원이 될 뿐 아니라 산불방지용수,농업용수,홍수방지용수로 활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류시설을 통해 모아둔 빗물을 통해 침출수를 정화하거나 지하수를 보충할 수 있다는 제안도 내놓았다.

 이들은 “튜브를 이용한 저장조를 활용하면 10t에서 1만t가량의 빗물저장조를 빠르고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다”면서 “전국에 산재해있는 매몰지에서 빗물관리를 잘하면 식수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몰지 오염이 하천 하류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분산형 빗물관리는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저비용으로 지역실정에 맞는 물관리 시설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