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음악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최고의 수단”

“내게 음악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최고의 수단”

입력 2011-02-16 00:00
업데이트 2011-02-1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내한공연 코린 베일리 래 이메일 인터뷰

“나에게 음악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최고의 수단이다.”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코린 베일리 래(32)는 2005년 11월 데뷔곡 ‘라이크 어 스타’(Like a Star)로 단박에 스타덤에 오른 뒤 ‘풋 유어 레코드 온’(Put Your Records On) 등을 연이어 히트시켰다. 거칠 것 없던 그녀였지만 2008년 남편이 음주·약물 과다복용으로 숨지면서 충격을 받았다. 1년여의 은둔 끝에 한결 성숙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평단에서는 ‘영혼을 울리는 목소리’란 찬사를 보냈다. 아이유나 장재인 등 젊은 여가수들이 그를 롤모델로 흠모하는 것도 이해할 만하다.

이미지 확대
베일리 래
베일리 래
●“보이스 아름다운 아이유 기대 돼”

새달 10일 한국에서 첫 단독공연을 갖는 코린 베일리 래를 이메일을 통해 만났다. 내한공연 게스트로 나서는 아이유에 대해 “자신만의 스타일로 어쿠스틱 편곡을 해서 노래하는 것을 봤는데 인상 깊었다.”면서 “아름다운 보이스를 가졌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편곡 스타일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 기대된다.”고 말했다.

●“어렸을 땐 내 목소리 정말 싫어했죠”

→지난해 지산밸리 록페스티벌에 이어 두 번째 내한인데.

-아티스트들이 장거리 여행과 여러 가지 여건들을 감수하고 외국 투어를 가려면 ‘과연 얼마나 많은 이들이 찾아 줄 것인가’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 지산에서 열정적인 팬들의 성원에 놀랐기 때문에 첫 단독 공연을 결정했고, 굉장히 설렌다. 한국 팬들과 더 긴밀하고(intimate), 함께할 수 있는(involving) 시간이 되도록 하겠다.

→목소리가 결코 미성은 아니다. 목소리에 만족하나.

-어렸을 땐 내 목소리를 정말 싫어했다(hate). 학교 합창단이나 교회 성가대에서 노래를 부를 때면 백인 친구들이 내는 가늘고 천사 같은 목소리에 비해 굵고 거칠게 느껴졌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음악을 듣기 시작하면서 커트 코베인, 비욕, 빌리 홀리데이의 목소리를 접하게 됐고, 압도당했다. 비로소 내 목소리의 질감(texture)을 알아가면서 ‘천사의 목소리’는 될 수 없다 해도 지미 헨드릭스처럼 색다르면서 튀는 나만의 소리를 가진 것을 받아들이게 됐다.

→가장 큰 영향을 준 뮤지션은 누구인가.

-굉장히 많다. 레이 찰스의 돋보이는 프레이징(악상을 자연스럽게 분할해서 정리하는 것), 마빈 게이의 아름다운 하모니, 스티비 원더의 자유로운 코드 변화와 재즈를 바탕으로 한 작곡 스타일 등에 영향을 받았다. 비욕이나 빌리 홀리데이, 에리카 바두의 음악도 즐겨 듣는다.

→당신을 롤모델로 여기는 젊은 싱어송라이터들이 많다. 조언을 한다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아티스트로서 내가 하는 일을 누군가가 믿어 주고 공감해 준다는 것은 굉장히 큰 힘이 된다. 아티스트로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항상 자신의 모습을 잘 알고, 그것을 잃지 않는 데 있다. 일시적인 유행이나 트렌드에 민감하기보다 뚜렷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2-16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