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죽음과 맞선 할머니께 더 잘해드렸더라면…”

“그때 죽음과 맞선 할머니께 더 잘해드렸더라면…”

입력 2011-02-17 00:00
업데이트 2011-02-1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방공무원 애환 담은 문집 ‘행복한 동행’ 발간

“가슴이 마구 뛴당께. 후딱 병원 좀 데려다 주쇼.”

이미지 확대
유경문 소방장
유경문 소방장
1997년 서울 성북구. 당시 성북소방서 구급대에는 ‘단골’로 통하는 한 할머니가 있었다. “머리가 아프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구급대를 부르는가 하면 아랫목에 귀신이 누워 있다며 도움을 청하기도 했다. 3층 집 계단에서 들것으로 후송하다 몸의 일부가 벽에 살짝 부딪히기라도 하면 퉁을 놓곤 하던 할머니다. 할머니의 호출은 다섯달 넘게 이어졌고 그럴 때마다 유경문(41)소방장은 할머니를 병원으로 모셔 드렸다.

가을 무렵의 어느 날 할머니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구급대를 찾았고, 유 소방장은 마지못해 할머니와 함께 인근 병원으로 향했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할머니는 구급 요청을 한 지 며칠을 넘기지 못하고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왜 그렇게 자주 119 구급대원을 부르는지, 사소한 증상에도 병원을 찾는지 물어보지도 않고, 따뜻하게 대해 드리지 않아 죄송할 따름입니다.”

유 소방장은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할머니를 떠올리면 마음이 무겁다. 수개월간 할머니를 대하면서도 이름과 가족 없이 혼자 산다는 것 외에는 할머니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 할머니가 숨지고 나서야 담당 간호사를 통해 왜 그토록 몸을 아꼈는지 전해들을 수 있었다.

하나뿐인 아들이 외국 회사에 취업해 일년 간 떨어져 있었고 97년 연말에 귀국한다는 것. 유 소방장은 “할머니는 어쩌면 자신의 여생을 예견했던 것인지도 모른다.”면서 “아들의 귀국일까지 어떻게든 견뎌 보려고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에 맞서온 것”이라고 말했다.

유 소방장의 이 같은 사연은 소방방재청이 전국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모한 현장 체험사례 수기 최우수작으로 뽑혀 16일 발간한 문집 ‘행복한 동행’에 실렸다.

방재청은 공모에 선정된 수필 35편, 창작시 43편 등으로 엮은 문집을 전국 소방서 및 119안전센터에 배부해 소방공무원의 소명의식과 국가관 고취에 활용할 예정이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1-02-1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