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생 “가장 가까운 친척은 이모·외삼촌”

중고교생 “가장 가까운 친척은 이모·외삼촌”

입력 2011-02-22 00:00
업데이트 2011-02-22 05: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계 사회화 경향…공부스트레스는 美中日보다 높아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친가보다 외가 쪽 친척을 더 가깝게 여기는 등 모계 사회화 경향을 보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공부 스트레스는 미·중·일 등 주변국 학생보다 훨씬 높고,학교에서 참여권과 의사표현의 자유 등을 억압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작년 6∼7월 전국 중고교생 6천9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2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족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을 고르라’는 복수응답 질문에서 ‘이모’를 고른 응답자가 83.4%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외삼촌(81.9%),고모(81.7%),백부·숙부(79.8%),이모부(78.7%),외숙모(78.6%),백모·숙모(78.2%),친사촌(78.0%),고모부(77.5%) 등 순으로 대체로 외가 쪽 친척을 친가 쪽보다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오랫동안 길러온 애완동물’도 57.7%의 답변을 얻어 ‘촌수는 멀지만 가깝게 지내는 친척(49.9%)’을 제쳤다.

 이종원 책임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혈연 중심에서 모계-생활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함께 공개된 ‘4개국 청소년 건강실태 국제 비교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한국 고교생 3천933명 중 ‘최근 1주일 내에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87.9%에 달했다.

 이는 같은 설문을 받은 일본(82.4%),미국(81.6%),중국(69.7%) 고교생들의 스트레스 경험률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는 한국의 경우 ‘공부’가 대다수(72.6%)였지만 나머지 3국 학생들은 성적 문제를 호소한 경우가 40∼50%에 불과했다.

 아울러 많은 한국 학생들은 학교에서 참여권과 의사표현의 자유 등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별도의 보고서에서 작년 중고교생 5천802명을 설문한 결과 우리 사회가 중고교생의 참여권을 보장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18%에 그쳤다고 전했다.‘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45.9%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75.7%는 ‘청소년이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의견을 제시하는 등 사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답했다.

 모상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지금은 공부나 하고 대학에 가서 시민의식을 기르라고 하지만 이는 현실적이지 않다.고교에서부터 시민의식을 기르기 위한 참여교육이 하루빨리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