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생 ‘학교부적응’ 이유로 학업중단 증가

중고교생 ‘학교부적응’ 이유로 학업중단 증가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8: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ㆍ고등학생이 학업을 중단하는 주된 이유가 과거에는 ‘가정 형편’이었지만 요즘은 ‘학교생활 부적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펴낸 ‘2011 교육통계 분석자료집’에 따르면 지난해 고교 학업중단자는 3만8천887명으로 학업중단율은 전체의 2%였다.

학업중단율은 ‘재적학생 중 중도 탈락하는 학업중단자의 비율’이며 학업중단자는 질병, 가사, 품행, 부적응 및 기타 사유로 제적ㆍ중퇴 및 휴학한 학생이다.

원인별 분포는 학교생활 부적응(45.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유학ㆍ이민 등 기타(36.2%), 가사(11.6%), 질병(5.8%), 품행(1.2%) 순이었다.

부적응의 비중은 학업중단 원인으로 처음 포함된 2000년 조사(43.6%)에서 가사(37.9%)를 제쳤다. 그 뒤 약간 줄었다가 2007년(42.5%) 이후 매년 40%대를 유지했다.

다만 부적응이 성적 부진 때문인지, 수업을 제대로 못 따라가서인지, 교사ㆍ동료 학생과의 불화 때문인지 등 상세한 이유는 파악되지 않았다.

부적응 사유 중 가사의 비중은 2005년 20%대로 떨어진 뒤 2009년 24.2%, 2010년11.6%까지 하락했다.

고교 학업중단율은 1980년 3%, 1990년 2.4%, 2000년 2.3%, 2005년 1.3%로 줄었다가 2010년 2%를 기록해 소폭 오름세다.

중학교 학업중단율은 1980년 1.4%에서 2000년 0.7%까지 감소했다가 2010년 1%로 약간 올랐다. 원인별 분포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개발원은 “최근 중고교의 학업중단 이유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는 과거 가정의 경제적 빈곤이 주된 원인이었다면 최근에는 비행이나 학교생활 부적응이라는 점”이라며 “학교교육의 부실과 위기라는 맥락에서 파악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